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 스포츠 자본, 약일까, 독일까? 내인생의책 세더잘 시리즈 36
닉 헌터 지음, 이현정 옮김, 김도균 감수 / 내인생의책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끝난 월드컵을 두고 곳곳에서 잡음이 들린다. 월드컵 골든볼의 주인공이 메시에게 돌아간 것에 대해 마라도나는 ‘마케팅 기획’이라며 비판하기도 하고, 월드컵 조기 탈락으로 인한 시청률 하락때문에 SBS는 14년 2분기 영업이익에 큰 타격을 입어 적자전환이 예상된다는 뉴스도 나왔다. 월드컵은 단순히 국가별 친선경기가 아니라 천문학적 돈이 왔다갔다하는 스포츠 자본의 산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내인생에의 책에서 출판하는 디베이트 월드 이슈 시리즈(이하 세더잘)에서 36번째 책이 출판되었다. 주제는 “스포츠 자본 약일까, 독일까?”. 선수들의 유니폼과 장비에는 각가지 후원기업들의 로고가 빼곡하고, 경기 중간중간에는 인기 선수가 광고하는 음료수 광고 영상을 보게 되며 누구누구가 이적료로 또는 연봉으로 얼마를 받더라는 이야기가 새삼 낯설지 않은 우리 삶을 되돌아 보게하는 토론 주제이다.

자본은 스포츠의 규모와 기록향상에 분명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돈이 되는 종목과 아닌 종목이 나누어 지면서 인기 종목, 비인기 종목 선수가 받는 대우 격차도 점점 커질 뿐만 아니라 스포츠 정신, 공정성과 같은 건전한 정신은 점점 퇴색되어 가는 것이 사실이다. 오히려 특정 선수, 특정 감독이 주축이 되어 승부조작으로 돈을 벌려는 모습은 팬들을 실망시켜주기도 한다. 하지만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배경도 없고 공부도 못한 누군가가 스포츠 대회에서 정상을 차지하여 부를 거머쥐는 과정은 ‘개천에서 용난다’는 극적인 드라마는 분명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기도 한다.

이 책의 마지막은 토론 주제를 던지면서 끝이난다. “스포츠 자본은 프로 스포츠를 발전 시켰지만, 스포츠계를 상업주의로 물들이기도 했다. 스포츠 자본의 적절한 역할은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