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대의 두뇌는 희망이다 - 혼란을 넘어 창의로 가는 위대한 힘
대니얼 J. 시겔 지음, 최욱림 옮김 / 처음북스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처음북스에서 출간된 이 책은 십대의 여러행동들을 뇌 과학으로 분석하고 있다. 십대의 두뇌는 왜 희망일까? 청소년기 십대의 긍정적 특성을 최대한 활용한다면 성인이 되어서도 오래도록 그 특징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청소년기 정신의 특징에는 4가지가 있다. 새로움의 추구, 사회적 유대감, 예민한 감수성, 창조적 탐험이다. 이러한 정신을 기존 질서에 어떻게 적용시키냐에 따라 성인이 되어서 세상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성인이 청소년기의 독특한 특징을 잃어버리면, 성인이 되서 인생을 지루하게 느낄지도 모른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시기를 다시 한번 재조명해볼 필요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십대의 특징은 저자의 말에 의하면 ‘양날의 검’이기도 하다. 하지만 칼날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제대로 인식하기만 하면, 청소년기의 정신의 힘은 자기 자신의 발전은 물론 타인에게 혜택을 주는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자신의 뇌를 어떻게 성장시킬지가 상당히 중요하다. 뇌를 잘 발달시키면 뇌 속의 기존 연결회로에서 불필요한 것은 가지치기를 하고, 필요한 것은 뇌가 더 연결되면서 잘하는 것은 더욱 잘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저자는 마인드 사이트라는 일종의 명상(성찰) 도구를 소개하고 있다.

 

성찰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를 탐험하는 것은 자신을 사랑할 수 있는 첫 단계다. 그런데 자신을 안다는 것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나’의 발견과 ‘우리’와의 연결은 다르지 않다고 말하며 ‘나’에서 ‘우리’로 사고의 확장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은 오늘날 사회문제라고 일컫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