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왜 거짓말을 할까 - 잘하는 사람은 있지만 안 하는 사람은 없는, 거짓말의 심층 심리
사이토 이사무 지음, 최선임 옮김 / 스카이 / 2014년 4월
평점 :
품절


 <스카이>에서 출간된 [사람은 왜 거짓말을 할까?]는 거짓말의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거짓말을 하는 사람의 심리 및 거짓말의 남여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 책이다. 이 책의 저자 ‘사이토 이사무’는 이미 국내에 ‘자기표현 심리학’ ‘느림보 심리학’등 각종 서적으로 익히 알려진 저자이다.

 

 1장과 2장은은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해 우리가 사용하는 거짓말의 다양한 유형을 소개하고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어떻게 봐라봐야 하는지 담겨있다. 이 장을 정독한다면 거짓말 하는 사람을 바라보게 되면 그 사람과 거리두기가 가능해지면서 그 사람 말의 이면을 생각하게 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3장은 각종 실험으로 입증된 상황에 따른 거짓말과 그 심리가 소개되어있다. 여러 연구 논문을 요약 소개해 놓은 것 같은데, 쉬운 용어로 그 실험과 그 실험의 의의에 대해 소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4장은 남녀 사이의 거짓말에 대한 심리가 정리되어있다.

 

  이 책의 표지에도 적혀있듯이 거짓말을 잘하는 사람은 있지만 안 하는 사람은 없다는 말이 거짓말의 참 모습을 보여준다. 거짓말은 두 가지 얼굴을 지닌 야누스와 같다. 우선 상대방을 위협하기 위한 거짓말이있다. 가령 “아이가 생겼다.”같은 거짓말이 그러하다. 자칫 잘못사용하면 사회적으로도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거짓말이다. 또 하나는 “너 이번에 한 머리스타일이 참 이쁘다”같은 말이다. 상대방이 머리스타일 변화가 어떻게 보이든 간에 상대의 기분을 좋게 만든다. 전자와 후자는 서로 목표는 다르지만 중요한 것은 인간은 결코 혼자 있을 때는 필요 없는 행동이라는 점이다. 즉, 사회적 동물이며, 사회 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것이라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자의 ‘나쁜 거짓말’도 후자의 ‘선의의 거짓말도’ 사회생활에서 안쓰일 수가 없다.

 

  따라서 우리는 상대의 거짓말에 잘 대처하고, 나 자신도 거짓말로 어떤 상황을 잘 모면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고 하지 않던가? 거짓말은 나쁘다는 고정관념이다. 이를 좋은 인간관계에 도움이 되는 하나의 방법으로 잘 사용하고 싶다면 꼭 이 책을 읽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