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vs 권력 - 중국 역사를 통해 본 돈과 권력의 관계
스털링 시그레이브 지음, 원경주 옮김 / 바룸출판사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이것은 만 가지 결함도 덮어 준다. 게다가 반체제 운동을 무력화 시키기도 하는 신비한 물건. 이것은 뭘까? 바로 돈이다. 적은 돈은 개인의 육체적 노동으로도 충분히 벌 수 있다. 하지만 시스템을 갖춰서 돈을 벌어들이기를 원한다면 그 시스템을 조직하고 움직일 힘이 필요하다. 그것은 권력이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돈은 권력을 흔드는 존재이기도 하니 돈과 권력의 관계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물고 물리는 관계이다.

   

 

 

바룸출판사에서 출간된 <돈VS권력>은 그것의 주체인 상인과 관료가 보여주는 욕망을 바탕으로한 차가운 공생관계를 조명했다. 상인들은 중국역사에서 늘 천한 대접을 받았기에 부를 권력으로 바꾸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관료들은 법은 만들고 집행하며 군대를 이용하여 일방적으로 상인을 지배하였다. 관료들은 재물을 얻기위해 권력을 이용한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권력은 짧지만 기업은 길다. 기업은 길게 살아남기 위해 변하는 권력의 파도를 넘기위해 검은 돈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이 현재 중국의 과거이자 현재의 모습이다. 앞으로는 어떻게 전개될지 모르겠지만 몇 천년 동안 지속된 두 주체의 관계가 몇년안에 확 달라질 것 같지는 않다.

   

 

 

이 책은 중국을 배경으로하여 상인과 관료의 투쟁 역사를 그려내고 있지만 역사의 흐름은 많은 나라들간에 유사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현재 모습과 미래모습도 이 책으로 충분히 조명해 볼 수 있을것이다. 최근에도 SK 및 효성그룹의 최종선고가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사람들의 주위가 느슨해지면 분명 석방될 것이다. 이렇게 해서 풀려난 상인들은 다시 힘을 내어 일을 시작할 것이다. 역사는 반복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