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조직이 어떻게 큰 조직을 이기는가 - 스토리텔링으로 배우는 이기는 비즈니스 전략
나가이 다카히사 지음, 임재덕 외 옮김 / 성안북스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작은 조직이 어떻게 큰 조직을 이기는가>는 소설형식으로 풀어낸 경쟁 전략 이론서이다. 싱크프리상사가 만들어낸 새로운 회계 프로그램이 시장에서 인기를 끌자 이미 회계 프로그램의 시장에서 1위를 달리던 밸류하이사가 ‘동질화 전략’으로 카피상품으로 대응을 한다. 작은 조직인 싱크프리상사의 매출이 하락하면서 큰 위기를 겪게 되는데 이 위기를 ‘성공경험으로으로 부터의 탈출’하는 사고의 전환으로 극복해 낸다.

  오늘의 1등이 내일의 1등이 아닌 비즈니스 현장에서 상대방 기업을 누르는 것은 비정하지만 가장 중요한 생존 방식이다. 물론 ‘공생’이라는 말로 포장할 수는 있겠지만 사실 ‘공생’은 ‘파트너쉽’을 의미하는 것이다. 파트너는 너와 내가 손잡았을 때 이익이 있을 때가 파트너 이지 너만 이득을 보는 구조에서 내가 굳이 상대방과 파트너를 할 필요가 없다. (이 책에서도 싱크프리상사의 제품을 판매하는 회계사무소가 싱크프리상사에게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하자 당장 거래를 끊으려 하는 비정함이 보인다.)

  작은 조직은 어떻게 이겨야 하는가? 그것은 차별화로 시작해서 차별화로 끝내야 한다. 차별화는 상당히 두려운 방식이다. 왜? 절대로 모든 고객을 만족 시킬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멀리보면 모든 고객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생각이 자신의 제품에 대한 정체성을 잃어버리게 만든다. 틈새시장은 차별화로 극복해야 할 문제이다. 진청한 차별화는 이러한 평준화와는 정반대의 길로 나아가야만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불균형의 상황을 더욱 불균형 하게 만드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것이다. 특정 분야에서 최고가 되고자 한다면, 우리는 이 진리를 명심해야 한다.

  차별화는 어떻게 하는가? 해야할 여러 일 중 중요하지 않은 것을 버리는 것에서 시작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과거에 성공했고 이번에도 이렇게 하면 될것이다는 고정관념은 버려야 한다. 과거의 성공이 지금은 중요하지 않은 일일 수도 있다. 비록 경영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이지만 취업 현장에서 나를 어떻게 어필하고 나를 어떻게 소개해야 수많은 지원자 중에서 내가 뽑힐지 알고싶은 취업 준비생들도 이 책이 분명 도움 될 것이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