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전쟁 4 - 전국시대 화폐전쟁 4
쑹훙빙 지음, 홍순도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총으로 싸우는 전쟁보다 더 무서운 전쟁 무기인 ‘돈’을 소재로 한 화폐전쟁 시리즈는 경제서적 중에서도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 중 하나이다. 대학 때 화폐전쟁1을 읽고 화폐의 역사와 함께 그에 얽힌 금융사건의 어두운 이야기를 알고서 많은 충격을 받았었다. 그 이후 화폐전쟁 2권, 3권에이어 화폐전쟁 4를 읽고나니 화폐전쟁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방안에 대해 눈이 뜨이게 되었다.

   미국이 두 차례의 양적완화로 미국의 부채는 훨씬 줄어들었지만 상품 가격의 폭등을 초래하여 앞으로 더 급격한 물가상승이 예상된다. 이렇게 자국의 부채마저도 축소시킬 수 있는 힘은 달러가 기축통화이기 때문인데, 이렇게 달러 기축통화 체제하에서 미국의 경제 성장 모델은 자본 중심에서 채무 중심으로, 실물 생산 위주에서 자산 팽창 주도형 모델로 바뀌었다.

   채무가 만들어내는 달콤한 경제 거품에 익숙한 미국은 절대로 기축통화의 권력을 놓지 않기위해 달러가 아닌 화폐가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게릴라 전투로 무력화 시키고 있는 것이 오늘날 모습니다. 유럽의 유로화가 흔들리는 것도 이 게릴라 전투를 막아내지 못해서이다. 이런 상황에서 아시아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작가 쑹훙빙은 중국을 주축으로 아시아 각국이 단결해 아시아 단일 통화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지구촌은 달러 및 유로와 함께 아시아달러(야위안)를 갖게 됨으로써 진정한 화폐 전국시대로 접어들 수 있다. 이 제안은 삼국지에서 보는 천하삼분지계를 보는 것 같다.

   저자가 주장하는 아시아 경제 공동체를 출범하기에는 어려움도 크다. 동아시아 주요국가인 중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은 각자 치명적인 약점을 갖고 있다. 아시아인들은 유독 역사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사는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함이지 잘잘못을 따지기 위한 것이 아니다. 외교에서는 이익 공유를 통해 얻는 이득이 이익 쟁탈을 통해 얻는 것 보다 훨씬 더 많다면 서로가 이익을 위해 힘을 합쳐야 된다.

   이런 열린 태도를 통해 3개국은 서로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 중국의 최대 약점은 경제, 일본의 최대 약점은 정치, 한국의 최대 약점은 군사 분야 인데, 사실 3개국의 약점은 모두 미국으로 인해 조성된 것이다. 그러나 중국 일본 한국이 뭉친다면 각자의 약점 따위는 전혀 문제가 안 된다. 이 책을 읽기전까지는 늘 우리나라와 미국과의 금융관계만 생각했던 내가 좀 더 시각을 넓혀 아시아 금융 단일화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향후 10년 전세계금융이 작가의 희망대로 이루어 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