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한국경제 대전망
이근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art1. 2019년 경제전망 : 미국, 일본, 중국, 유럽, 한국

01. 세계가 주목하는 미국의 경제 정책

02. 일본의 통화 정책 변화를 주시하라

03.개혁개방 40주년의 중국경제, 위기에 처하다

04.브렉시트를 앞둔 영국과 유럽연합의 전략

05.2019년 한국경제 , 침체기에 접어드나


part2. 격변하는 세계경제 : 미중갈등과 경제리스크

01.트럼프 시대의 신보호주의와 세계 통상 질서

02.미중 무역전쟁 승자는 누구일까

03. 정치적 권위주의 강화 속에 흔들리는 중국의 시장경제

04. 새로운 외환 위기를 대비하라

05. 추격지수로 분석한 미중 대결 구도와 한국경제


part3. 지속 가능한 복지와 성장 : 한국은 유럽형 복지국가 함정을 피할 수 있을 것인가

01. 노동의 유연안정성 개혁을 위한 한국형 제3의 길

02. 복지 수준-조세부담률-국가 채무의 재정 트릴레마

03. 높아진 의료비 부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04. 급상승한 소귿ㄱ 불평등, 어떻게 극복할까?

05. 지속적 혁신 성장의 길을 찾다


part4. 한반도 평화 시대 : 북한은 한국 경제의 기회의 창인가

01. 북한의 개혁개방 시나리오

02. 북한경제 시장화 어디까지 와 있나

03. 한반도 신경제 시대 열리나

04. 남북 경협의 핵심 과제, 에너지 산업

05. 북한경제가 다시 일어서기 위한 조건


part5. 국내 경제 이슈와 전망 : 금융, 부동산 혁신 성장과 개혁

01. 심각한 가계 부채 문제, 어떻게 해야 하나?

02. 2019년 부동산 정책, 서울과 지방의 간극을 좁혀라

03. 국민연금이 대기업 경영 체질을 바꿀 수 있을까?

04. 문재인 정부의 혁신 성장, 이제부터 시작이다.

05. 노동과 경영이 조화를 이루는 노사관계로 체질을 개선하라


part6. 혁신산업과 신성장 동력 : 다가올 미래를 대비하라

01.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무엇이 혁신인가

02.워라밸, 디지털 사회 전환을 위한 핵심 가치가 되다

03.Tass시대와 한국 자동차 산업의 미래

04. 순풍에 돛을 단 반도체 산업, 남은 과제는?



part7. 중국 및 해외 경제 : 새로운 파트너를 찾아라

01. 2019년 중국, 금융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인가

02. 중국의 스타트업은 어떻게 유니콘 기업이 되었나

03. 새로운 중국 제조업의 상징, 샤오미

04. 한국의 신남방정책, 베트남과 인도가 몰려온다.


 


2019년 한국 경제 전망을 보려면 미국, 중국, 일본 그리고 유럽까지 전 세계의 추이를 지켜봐야한다.

미국의 경제 정책의 경우 얼마 전 치르었던 중간선거의 결과에 따라 기조가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현 상황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은 미국이나 한국이나 선거 결과로 나타나기에 트럼프 정부 또한 이를 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아베노믹스의 성장 전략의 경우가 인상 깊었는데 출산율 1.8명 목표로 한 육아 지원, 개호이직(일본에서 늙은 부모의

병수발을 글기 위해 중년 직장인이 회사를 그만두는 사회 현상)제로를 위한 사회보장, 최저임금인상, 동일 노동 동일 임금 실현,

비정규직 처우 개선, 보육과 간병 지원 등 여러 정책을 제시하는 점이 우리 나라의 미래를 보는 것 같아 신기했다.

중국의 경우 미국과의 마찰로 인한 조치로는 금리 인하, 대출 규제 완화, 소기업 지원, 민간 투자 장려를 위한 감세 정책 및 대외적으로는

아프리카와 협력 강황 등 국제 협력 다원화 및 해외일자리 창출, 수출 상품의 다변화를 추진한다고 한다.

브렉시트를 앞둔 영국과의 관계는 미국, 중국, 일본과는 달리 보다 거시적인 관점으로 바라보아야한다. 브렉시트로 인한 경제 체계 변화와

인공지능으로 촉발되는 산업 재편에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제조업과 제조 인력을 어떻게 유지하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는지

고민해봐야한다.

그리고 얼마 전 남북평화회담을 한 이후로 더더욱 북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며 북한의 시장성과 우리 경제의 역학관계도 계산해야하는데

어쩌면 2019년 한국 경제의 미래는 앞으로의 우리 나라 경제 상황에 큰 디딤돌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