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땅의 야수들
김주혜 지음, 박소현 옮김 / 다산책방 / 2022년 9월
평점 :
품절


한반도를 상징하는 존재이자, 우리 겨레의 수호신인 호랑이.

그러나 일제에 의해 수탈되고 종국엔 씨가 말라버린 호랑이. 


그 호랑이를 한민족에 빗대어 이야기를 풀어낸 시작은 흥미로웠다.


물론 서두에 이 소설은 픽션이고, 인물·장소·사건들은 모두 허구라며 다시 한 번 집어주긴 하지만, 책을 읽는 중간중간 특정인·특정사건이 떠오르는 것은 어찌할 수 없다.


이 땅에서 나고 자라 역사를 배우고, 태백산맥·아리랑을 접한 이들에겐 

책에서 언급되는 사건/인물에 사실이든, 카더라든 

어디선가 들어본 것 같은 기시감이 들었을 것이다.


그래서 더욱 각 캐릭터, 각 사건을 좀 더 깊이 파지 않은 점이 상당히 아쉬웠다.

물론 1918년부터 1964년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의 근현대를 아우르는 책이다보니

많은 내용을 심도깊이 다루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등장하는 인물도 적지 않다. 

사냥꾼, 기생, 고학생, 독립운동가, 일본군, 일본사업가, 악한 지주, 선한 지주....

그런 인물들의 성격을 입체적으로 그려내고자 하는 의도는 좋다.


그런데.. 다소 애매하게 느껴지는 것 또한 사실이다. 

물론 단순히 이분법으로 나누어 선한 역할과, 악한 역할로 구분짓자는 얘기가 아니다. 

그러나 저마다의 인물에 서사를 부여하려다보니 캐릭터성이 떨어진다 느꼈다.



본의 아니게 단점만 찾아낸 것 같지만, 

외국인에겐 혹은 역사에 큰 관심이 없던 이들에겐 새로운 이야기일 테고, 

그만큼 많은 독자들이 보내는 찬사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


600장이 넘는 역사소설이지만 수월하게 읽히는 것도 장점이다.

막힘 없이 유려하게 평안에서 제주까지 굴곡 짙은 한반도를 훑어간다.


ott플랫폼에서 영상화 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파친코 이후 또 하나의 역작이 나오길 기대해본다.







모든 인간은 근본적으로 자신이 고유한 의미를 지닌 존재라고 믿는다. 그러지 않으면 각자의 인생을 버텨내기 어려울 것이다. - P250

나이를 조금 더 먹고 나니, 인생이란 무엇이 나를 지켜주느냐가 아니라 내가 무엇을 지켜내느냐의 문제이며 그게 결국 가장 중요한 것임을 알겠다. - P2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