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탐구하는 미술관 - 이탈리아 복원사의 매혹적인 회화 수업
이다(윤성희) 지음 / 브라이트(다산북스)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과 나와는 별다른 관련이 없다고 생각해왔다.

그저 남들 다 가는 전시 몇 번, 가볍게 읽은 책 몇 권. 

관련 지식도 얕고, 당연히 작품을 보는 눈도 없다시피.

어차피 예술엔 정답이 없다는 말로 자위하며 

남들이 명작이라고 한다해서 나도 좋아야 하는 건 아니라는 어줍잖은 태도를 견지하고 있을 뿐.


물론 책을 읽었다고 완전히 달라졌다는 말은 아니지만;)

르네상스 미술을 꽃피운 시대. 작가들.

이전의 신을 중심으로 보던 시각을 점차 인간 위주로 가져오는 부분이 정말 흥미로웠고,

배경, 색상, 구도, 조광, 인물의 표정, 몸짓 등이 의미하는 너무도 다양한 상징과

또 그걸 해석해내는 과정이 즐겁게 느껴졌다.


익숙한 작가는 물론이고 생경한 작가까지 그들의 삶과 소소한 정보,

그림체를 특정짓게 된 작가 개인의 이야기를 들려주어 좋았다.

개인적으로 라파엘로의 그림체를 선호하는데 이 책으로 알게 된 '필리포 리피'의 그림도 눈에 들어오는 걸 보니 따뜻한 시선을 좋아하는 취향이었나.. 새삼 생각하기도 했다.


작가가 애호하는 작가나 그림도 궁금하다.  

글의 마무리나 에필로그가 있을 줄 알았는데, 그 부분은 좀 아쉬웠다.    

정여울 작가의 표현대로 '나의 눈으로 예술을 보는 주체적 힘'을 기르는 씨앗이 될 수 있는 책이다.

 

르네상스 시대에 사람들은 세상에 대해 호기심 어린 질문을 끊임없이 던졌습니다. 이들은 잘 받아들이는 것을 선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질문하고 생각하고 깨닫는 것을 선으로 여겼죠. 그렇게 르네상스 미술은 인간 지성을 탐구하는 미술이 됩니다. 동물의 움직임, 빛에 비친 그림자의 각도, 식물의 줄기에서 황금비율을 계산했고, 인간이 볼 수 있는 것과 볼 수 없는 것에 대해 물었습니다. 그 물음이 결국 인문학에 대한 깊은 사색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 P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