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후미식 - 우리가 먹는 것이 지구의 미래다
이의철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8월
평점 :
올 여름에 비가 미친듯이 쏟아지고, 그 비 때문에 서울 도심에서 물난리가 난 걸 보고 기후 문제의 예고편을 보는 기분이었다. 아마 본편은 예고편보다 훨씬 더 강력하고 치명적일 거라는 불안한 마음이 들었다. 북극의 빙하가 녹고 히말라야의 만년설도 녹고 있는 지금,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선을 넘어버린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망가지고 있는 지구를 다시 원래대로 돌려놓을 수는 없겠지만, 파괴하는 속도라도 좀 줄여야하지 않나 하는 자포자기의 심정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책을 읽고 영상을 보면서 어떤 부분을 실천할 수 있을지 생각하는 하루하루를 보내다가 이책을 발견했다.
이전에도 채식에 대한 책은 여러권 읽었고, 그중 두 권은 후기도 남겼다. <해방촌의 채식주의자>는 제도적인 문제나 동물권 중심으로, <아무튼 비건>은 동물권과 환경, 그리고 비건으로 살아갈 때 겪을 수 있는 일들에 대해 광범위하게 다룬 책이었다. 이번에 읽은 <기후미식>은 환경 문제에 중점을 두고 환경과 사람 몸에 가장 이로운 식사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간다.

기후미식이라는 제목을 보고 그게 기존의 비건식과 무엇이 다를지 궁금했다. 정확한 구분은 어려울 수 있겠지만, 책을 다 읽고 나니 기후미식은 동물보다도 환경과 사람에 초점이 맞춰진 느낌이었다. 단순히 동물권을 위해 채식을 한다기 보다 사람을 비롯한 동물이 살고 있는 지구를 더 해치지 않으면서, 사람 몸에 해롭지 않게 먹을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였다. 단순히 동물성 식품만 섭취하지 않는 비건보다 조금 더 몸에 이로울 것 같지만, 그만큼 까다로운 느낌도 들었다. 되도록이면 가공하지 않은 음식을 먹을 것을 권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구에도 내 몸에도 이롭다니 실천해보고 싶어졌다.

이미 지구온난화라는 말은 식상하게 느껴질 정도로 많이 접하게 되었고, 이제는 피부로 와닿기 시작했다. 하지만 감귤류가 중부지방인 세종에서 자라고 있다는 이야기는 책을 통해 처음 알아서 충격을 받았다. 커피 가격이 오를 거라는 기사를 읽고 동료들과 언젠가는 한국에서 커피 재배도 할 수 있는거 아니냐는 농담을 하며 웃었는데, 현실로 이뤄질 수도 있는게 아닌가 싶어서 살짝 불안해졌다. 책은 모두 4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중 1장에서는 기후와 환경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 내용이 제법 심각해서 읽는 동안 마음이 무거웠다.

이 부분은 읽기 전까지 생각해본 적이 없는 내용이었다. 온실가스를 엄청나게 배출하면서 사회 인프라를 구축해 온 나라들은 기후위기에도 어느 정도 대처할 수 있지만, 온실가스 배출을 적게 하며 자연 친화적으로 살아온 나라들은 기후위기에 맨몸으로 맞닥뜨리게 된다는 이야기를 읽으며 정말 그렇겠다 싶어서 마음이 안 좋았다. 온실가스를 적게 쓴 사람들이 더 큰 피해를 입게 되다니.

한국의 탄소 발자국이 53년 동안 13.3배 늘어났다는 것으로는 확 와닿지 않았지만, 지구가 0.29개 필요한 수준에서 3.86개 있어야 할 수준으로 늘어났다고 하니 심각하게 느껴졌다. 그중에서 식단이 차지하는 비중이 저렇게 크다는 것도 충격적이었다. 그동안 집에서 내가 실천할 수 있는 부분이 고작 식단 정도라고 생각했는데, 식단은 제법 큰 문제였다는 걸 절감했다.

우영우가 좋아하는 고래는 환경적으로도 아주 이로운 동물이다. 큰 고래는 나무 약 1,500그루가 1년 동안 흡수할 수 있는 양의 이산화탄소를 바다 밑에 저장할 수 있다. 고래뿐만 아니라 해양 생물은 죽은 후에 바다 아래에 가라앉아 몸에 저장되어 있던 이산화탄소를 수천년동안 해저에 저장한다. 이렇게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해양생물이 바다에 저장하는 탄소를 '해양 블루카본'이라고 한다.(91쪽) 해양생물이 하는 일은 바닷속 생태계를 유지하는 일뿐이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더 많은 일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이번에 처음 알았다. 그리고 해양생물이 그 역할을 끝까지 해낼 수 있도록, 각자의 방식대로 생을 마감할 수 있게 해주는 게 인간의 역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후위기가 만성질환과 닮았다는 것도 이미 국가적 사고의 범위를 넘어섰다는 것도 공감하며 읽었다. 이미 기후 위기 전조 증상을 여러 차례 겪었고, 또 겪고 있으면서도 아직 눈앞에 심각한 위기 상황이 보이지 않아서 기후 문제에 대한 생각을 일상에서는 잊을 때가 많다. 그렇지만 지금도 이미 빠른 속도로 진행 중이고,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니 좀 더 경각심을 가지고 살아야겠다. 엄격한 자연식물식은 아니더라도 책에서 추천한 식단이나 음식에도 도전해보며, 지속가능하게 먹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봐야겠다.
그동안은 동물성 식품을 피하고 식물식을 하는 것이 환경이나 비인간 동물에게 더 이로운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사람 몸에도 그게 좋다는 걸 책을 읽으며 알게 되었다. 되도록 비정제 음식 위주로, 탄소 발자국을 만들지 않는 식단을 고민해봐야겠다. 이 책에는 식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철 음식과 요리에 대한 정보도 담고 있다. 부록에서 내가 도움을 많이 받았던 자료는 식물성 식품의 단백질 함유량이었다. 꼭 고기가 아니더라도 단백질을 풍부하게 얻을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지금 당장 고기를 완전히 끊을 자신은 없지만, 식물성 식품 위주로 먹으면서 차차 범위를 더 넓혀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