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직설
박영선.김관성 지음 / 두란노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인상깊은 구절

하나님은 우리한테 능력을 발휘하라고 하지 않으십니다. 마음대로 해 보라고만 하세요. 괜찮다는데 우리가 스스로 떨고 있는 것이지요.

직설, 박영선 목사님과 김관성 목사님의 대담을 엮은 책이다.


원래 꼼꼼하고 하나에 꽂히면 고민하면서 파고드는 걸 좋아하는 성격이라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다시 알게되고, 성경을 제대로 읽기 시작한 이후로 무식해서 용감했던 과거의 내 모습에 깜짝 놀라며 하나님은 누구실까, 진정한 진리는 무엇일까 고민하며 기도하며 말씀을 먹으면서 하루하루 살아내려는 중이다.


공동체 모임시간에 <구원의 완성>이라는 책으로 공부를 하는데 이 책도 박영선 목사님께서 쓰신 책이다.

부끄럽지만 칭의, 성화, 영화라는 말을 이 책을 공부하면서 처음 들어봤다.

이 책으로 공부를 하면서 아직 많이 부족한 단계지만 하나님을 더 알아가는 맛을 보는 중인데 <구원의 완성>을 공부하며 알고 경험하게 된 하나님을 또 한번 더 깊이 알아가고 싶어서 읽어보게 되었다.



삶의 힘든 상황 속에서도 어쨌든 견뎌야 한다.

그리고 그 실제적인 문제와 고민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 안에서 단단해진다.



실력만큼 하라. 그냥 주님의 뒤를 좇다 보면 우리는 어느날 자라 있다.



요즘 특히 내 힘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기에 약할 때 강함되시는 주님을 소망하며 주님을 붙들며 살아간다.



가장 위대한 가치 = 하나님을 아는 것

가장 위대한 것을 얻었으니 땅의 보상이 무엇이 필요있겠는가 하지만 그래도 아직 나는 꼬꼬마인지라.. 가끔은 고마워 하는 작은 말이라도 못해주나 하고 괜스리 섭섭하고 그렇다ㅎㅎ.. 하지만 하나님께서 다 아시니깐.... 라고 생각하며 위안하는데 그건 내가 신앙관계 속에서의 이해관계의 개념을 아직 못 버려서 그런 것 같다..



인생의 유일한 답,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의 사랑과 목적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을 알고 하나님의 채우심을 가지는 것.



정말 놀라운 일이 아닌가.

창조주이신 하나님께서 피조물인 관계에서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인격 대 인격으로 만나주신다.

그래서 우리에게 믿음과 사랑을 요구하신다. 그런데 그 요구가 강요가 아니다.



하나님의 목적에 내가 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선택하고 모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다.

그리고 이 말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통해 무언가 하신다는 말이기도 하다.



신앙은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실제적인 것이다.

그리고 힘든 상황 속에서 주님께 부르짖으면 주님께서는 상황을 바꾸시는 것이 아니라 나를 변화시키신다.

목사님께서는 사람이 실력이 붙는 것이라고 말씀하신다. 



한국 사회에서 죄는 윤리적인 것이라고 하지만 성경에서 말하는 죄란? 하나님 없는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오늘하루를 견디라고 하신다.



하나님은 나를 내보내셔서 예상하지도 준비하지도 않은 날들을 살아가게 하시고

바다 맛 좀 봐라~ 하고 빠뜨리신다는 것ㅎㅎ 어릴 적 계곡에서 아빠랑 물놀이를 할 때 아빠한테 매달려 있으면 아빠가 호이~ 하면서 가끔 놓으시던 기억이 떠올랐다ㅋㅋㅋ 그 경험을 통해서 물을 무서워하지 않게 되었던 나ㅎㅎ

그리고 자전거를 탈 때 엄마, 놓으면 안돼요!! 하면서 가다가 엄마, 잘 따라오고 있죠?!! 하다가 뒤를 보면 손을 놓고 빙그레 웃으며 나를 보고 있는 엄마가 있다ㅎㅎ 그리고 나는 혼자 자전거를 타고 간다.



그리고 우리를 대등한 지위에 놓으시고 조종하려 하지 않으시고 자유의지를 주시면서

자 이녀석아 한번 맘껏 놀아봐라~ 하시는 주님의 모습이 상상되면서 괜스리 미소를 지었다ㅎㅎ 



실패했어도 하나님이 함께 하셨으면 그 잘못이 본인에게는 일생일대의 전기가 되고 교훈이 됩니다. 난 이 말이 참 좋았다.



박영선 목사님께서는 거의 모든 질문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그런 답을 해주신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래서 일반 평신도인 나조차도 책을 읽을 때 내용을 내 삶에 적용하면서 읽을 수 있었다.



사람들의 다름은 그 사람의 독특한 매력이자 하나님이 한 인간에게 주신 인간의 고유한 영광이다. 



연줄비유를 보면서 또 한번 목사님의 통찰력을 느꼈다.

연이 높이 날 수 있는 것은 줄이 있기 때문이다.. 왠지 이 구절이 자꾸 떠오를 것 같다.



기독교 신앙은 관계가 우선입니다. 요즘 이 말씀을 유독 많이 듣는 것 같다.

이기적인 나에게 사랑 좀 마음껏 해보라고 주님께서 주시는 말씀이겠지..



아직 많이 산 건 아니지만 나의 인생을 돌아보면 크고 작은 실패들이 많았다.

그런데 그 실패와 아픔으로 인해 얻은 것이 더 많았고 그 덕에 이제는 실패가 아프긴 하지만 그래도 이전만큼 두렵지는 않다.

목사님 말씀대로 그 힘든 시간들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심정에 공감하고 위로할 수도 있기에...



우리의 정체성에는 항상 하나님이 전제되어야 한다.

우리의 정체성 =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대상



다혈질이고 남을 사랑할 줄 모르는 나에게 주님은 목사님을 통해 성질 부리지 말고 좀 웃어라 하신다 ㅎㅎ..



요즘 구약을 읽고 있는데 절망적인 상황이 많이 나온다. 그런데 신약에서 그 자막이 나온다 ㅎㅎㅎ....

내 인생도 나중에 자막화 되기를!!



탕자 이야기가 또 나온다. 하나님께서는 맘껏 고민하고 확인하라고 하신다.

그래 어디 한번 뛰어놀아보거라~ 라고 하시는 것 같다.



교회 이야기를 하면서 나오는 내용

갈증, 내가 겪었던 그 갈증... 나는 할 수 없지만 지금 포기할 수는 없다. 정확히 내가 겪었던 마음이다.



부끄럽지만 나는 다른 곳에서 좋은 교회와 공동체를 경험한 후에 신앙적인 부분에서 갈증을 느끼면서 일 년이 넘는 시간 동안 공동체를 찾아 헤맸다. 그러다가 지금 있는 공동체에 정착해서 아직 좋은 교인..은 아니지만 하나님을 알아가려고 발버둥치며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나의 방황했던 시간들은 지금의 나에게 정말 중요한 경험이 되었다.



실패의 유익.. 실패의 과정을 통해 땅 속에서 방황하던 나의 믿음의 씨앗에도 싹이 나고 조금씩 자라나고 있다.



지금도 많은 책임과 결정의 순간에 부담을 느끼지만 그래도 그것 또한 하나님의 은혜이기에 믿고 나아가려고 한다.


처음 책을 폈을 때는 뭔가 매우 어려운 것 같고 나같은 사람이 이런 책을 읽어도 되나.. 싶었다. 하지만 여러 날에 걸쳐서 곰곰히 곱씹으면서 읽었고 어느 순간 전날 읽었던 책의 내용을 내 삶에 적용하고 있는 나를 발견했다.


한 번으로 끝내지 않고 계속 되새김질해가며 읽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좋은 책을 선물해주신 박영선 목사님과 김관성 목사님께 참 감사하다.


나 뿐만 아니라 모두 주님 은혜 안에서 하루를 마음껏 살아낼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