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를 탈출하라 ky홈 시리즈 1
김용엽 지음 / (주)KY홈(케이와이홈)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파트를 탈출하라"니 왜...2018년을 주목하자.

저자 김용엽은 건축사로 연세대에서 건축할을, 서울대환경대학원에서 환경조경학을 전공, 숙대대학원과 호서대벤처전문대학원에서 실버산업학 석.박사과정일이수.최근 에너지절약형 친환경 단독주택을 발명하여 특허 출원 현재 친환경단독주택과 귀농귀촌, 시니어주택 개발사업을 전문으로하는 (주)KY홈 대표이사 재직중이다.

 

현재 단독주택에 거주를 하고있고 향후 이주를 계획하고있는 요즘 아파트를 탈출하라는 책의 제목이 단연 호기심에 읽어보지 않을 수 없었다. 아담한 정원에 사계절 자연과 함께 서울도심에서 새벽마다 새소리에 눈을 뜬다. 유독 비오는 날 정원의 흙냄새는 각박한 도시 속 삶에서 유일하게 나를 힐링하게 만드는 존재다. 그럼에도 매일 주차난에 치이고 경비없는 생활이 불안하기만 하다. 추후 계획을 한다면 아파트를 고집하고 싶었다. 아파트는 주변 산책로나 공원등의 녹지도 잘 마련돼어 있지 않은가? 자신의 마당을 갖는 것도 좋지만 그것을 잘 가꾸기란 결코 만만치 않은 일이다. 아파트를 탈출하라니...

 

chapter 아파트란 무엇? 아파트를 이야기하다.

​전체 주택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2016년 우리는 1000만가구에 육박하고 있으며 재개발. 재건축 바람으로 도시의 단독주택들은 점점 사라지고 아파트가 그 자리를 차지해 가고 있다.서양식 특유의 입식생활이 아파트주거형식과 함께 우리 생활에 들어오게 되었다.

독자적 얼굴없는 집으로 정형화된 내부구조,주거 전용공간과 공동 이용공간의 공존,수직 이동수단의 진화,핵가족 중심의 이기적인 모습으로 아파트의 건축적 모습을 설명한다.

또한 아파트의 폐쇄성과 빈번한 이사현상 아파트의 상품화 등을 지적하고 있다.

chapter 아파트의 출현과 확산

아파트 위주의 주택정책, 재산가치 유지 및 증가 수단으로 환금성 높은 자산으로서의 아파트의 경제적 효용성에 대해 설명한다.

chapter 아파트의 민낯 : 아파트주거의 문제점

​아파트에는 자연이 없다. 땅에서 멀어진 '콘크리트박스'의 '닭장'같은 집이라는 태생적 한계는 극복될 수 없는 숙명이다. 이웃과 소통없는 성채로 재난의 취약성과 유지 관리의 고비용성등을 지적한다.

chapter 아파트가격의 미래 :폭락이냐, 조정이냐

'인구절벽', '소비절벽', '고용절벽', '부동산절벽'시대의 도래가 멀지않았다고 경고한다. 마치 배가 침몰하고 있는데도 앞으로 닥칠 위기상황은 전혀 눈치 채지 못한 체, 희희낙낙하고 있는 모습은 아닌지...

chapter 아파트의 앞날 : 쇠퇴화 진화

이른바 '강남불패'라는 말도 생겨났다. 부동산 가격 상승을 주도하고 특히 아파트가격 초강세를 보이는 지역이기도 한다. 부동산 투기의 아이콘 지역이 된것이다.

'강남불패'의 신화는 지속될까? 표류하게 될 아파트 재건축사업에 대해 다루고있다.

초고층화 추세의 '장수명아파트'로의 전환.

이제 아파트는 단지 건축재재에 의한 하드웨어적 요소뿐아니라 생활프로그램 등 주거 삶을 풍성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적 요소까지 제공되어야 한다.

저자는 2018년을 주목하라 말한다. 아파트시장의 기본적 주택가격 결정 요인인 수용과 공급의 균형이 무너지게 되는것을 바라본다. 일상 아파트라하면 편리한 주거삶의 목적과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부동산 투기의 공급과 수요가 주를 이루었다. 유의깊게 읽은부분은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정책들이다. 부동산활성화 유도 정책은 국내 경기여건 개선에 기여한 봐도 크지만 부작용 또한 나타났다. 저금리 금융으로 인한 집단대출로 가계부채를 떠올릴 수 있다. 2017년 대선의 정치바람에 경제와 시장 놀리가 아닌 정치논란에 흽쓸려 경제적 악재들이 정권교체기인 2018년 결국 파국의 길로 들어서는게 아닌가 하는 염려이다.

 

부동산 가격 거품은 꺼질 수 밖에없다. 점점 핵가족화 되어가고 개인주의가 만연되어가며 무엇보다 편리성과 관리보호가 철저한 아파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질 수 밖에없으나 이 책에서는 삶의 터전으로서의 주거환경 뿐만아니라 무분별한 공급의 정책 속 흘러가는 경제시장의 파장에 주목을 두고 아파트의 장단점을 짚어주며 앞으로 지향해야 할 아파트문화에 대해서도 얘기하고 있다. 다방면 우리가 지나치기 쉬운 것들부터 지양해야할 것들에 유의점에 충분한 설명들로 그동안의 편견과 속된 유혹에 흔들리기 쉬웠던 생각에 많은 도움이되어 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