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 씽킹 - 핵심을 꿰뚫는 힘 Economic Discovery 시리즈 6
로버트 프랭크 지음, 안진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저자인 로버트 프랭크가 경제학에 관하여 심도있는 깊이가 없는 사람이 의외로 많은 것에 놀라 진정한 경제학이 어떤 것인지 알려주려고 하는데에 힘쓴 책이고, 자신이 가르치고 있는 학교의 학생들에게 실생활과 관련되는 여러가지 경제학적 물음을 가지고 레포트를 내주어 그 레포트들을 자신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학생의 문장력부족과 글의 통일성을 위하여 저자는 학생들의 레포트를 일일이 자신의 문체로 수정해 우리가 읽어나가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다. 

 우리는 일상생활을 살아나가면서 여러가지 문제에 마주하게 된다. 이것의 가격은 저렇게 되어있는데, 왜 이것은 가격이 이렇지? 하는 등의 물음은 경제학과도 연결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일반 사람들의 경우 그냥 그 정도로 생각하겠지만 경제학자의 경우 우리와는 생각이 달랐나보다. 가격형성의 원리 등에 대해 최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있는 것이 이 책이다. 물론 어떤 현상에 있어서 그 현상의 원리가 무조건 경제학적으로 설명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 중 상당수는 경제학적인 이유가 들어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저자는 그러한 관점에서 어떤 현상에 대해 경제학적인 근거를 들어 어떠한 행태는 그러한 행태로 진행될 수 밖에 없다고 써놓았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새롭게 느낀 것은 우리의 우연의 연속인것 같은 일상생활은 우연의 힘도 작용하겠지만 그것의 이유를 내려면 충분히 설명히 가능하고 그러한 설명으로 인해 우리는 경제에 대하여 더욱 깊은 통찰을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코노믹 씽킹>과 연결되는 책을 하나 꼽으라면 나는 <경제학 콘서트>를 꼽고 싶다. 이 책은 <이코노믹 씽킹>보다는 다양한 사례가 아니지만 대신 한 사례에 대해 이 책보다 훨씬 깊은 파헤침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앞으로 어떤 현상을 마주칠 때 그 현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능력을 갖추면 앞으로의 인생을 살아나가는데 올바른 판단을 하는데 도움이 충분히 될 꺼 같다.  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습관의 심리학 - 나와 조직의 운명을 결정하는 사소한 습관의 위대한 비밀
곽금주 지음 / 갤리온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심리학 전문가인 곽금주씨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습관에 초점을 맞추어 책을 낸 것이다. 나는 이 책을 읽기전에 이 책이 대강 어떤 내용인지 미리 생각하지 않고 이 책을 펼쳐보았다. 내가 가지고 있는 습관에 관하여 고민하던 차에 이 책을 만나게 된 것에 대해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이 책을 고를 때 이 책의 옆에는 습관에 관한 다른 서적도 있었지만 내가 맨 처음에 생각한 책부터 먼저 읽어보자 하는 마음에 이 책을 읽어보았다. 책의 내용은 내가 생각하던 습관의 내용과는 거리가 좀 있었다. 내가 생각한 좋은 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 같은 것을 기대하면서 보았지만 이 책의 내용은 그런 것이 아니라 우리가 가지고 있는 습관 자체에 대해서 서술한 책이다. 약간의 실망감을 가지고 이 책을 읽고있던 와중에 마지막 제 5 장에서 내가 원하는 부분을 만날 수 있어서 왠지모를 희열감같은 것을 느끼던 게 생각이 난다.  

 우리 모두들 습관이라고 하면 하나씩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물론 나도 습관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습관들 중 분명히 좋은 것도 있을테고, 습관이라고 하기도 싫은 부적절한 것도 있을 것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좋은 습관보다는 나쁜 습관을 많이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된다.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일지도 모르겠으나 일단 나부터 좋은 습관보다는 나쁜 습관이 더욱 눈에 띄기에 오해라면 어쩔 수 없는 오해이다. 연구자가 아닌 나로써는 다른 사람의 습관에 대한 기준으로 통계를 내기에는 어려움이 많기 때문이다. 뭐 이 얘기는 그냥 흘려듣기로 하고, 이 책에서 얻을 수 있는 습관의 심리학에 관한 정보는 여러가지가 있다. 내가 앞서 이 책에 관하여 부정적인 느낌으로 이야기를 했더라도 그것은 단지 내 예상과는 다른 내용이 들어있기 때문에 부정적인 느낌을 말한 것이지 이 책 자체는 우리에게 새로운 지식을 친절하게 알려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이 책에서 가장 끌렸던 부분은 바로 창조적 휴식부분이다. 우리는 모두 힘들게 노력하기만 하는데, 막상 그 결과는 자기가 예상했던 것보다 저조하다고 생각지 않는가? 오히려 자신보다 놀기 좋아하는 사람이 결과가 좋다고 생각하지 않는가? 라고 여기는 사람들은 이 책의 이 부분을 한 번 읽어보길 권한다.  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모두 의사소통의 장을 넓혀봐요~  

 책 읽고 서로 의사소통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공병호, 오륜서의 도를 찾다
미야모토 무사시 지음, 공병호 풀이, 김현영 옮김 / 루비박스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보통 고전이라 하면 어렵다는 느낌을 가지고 책을 대할 때가 많을 것이다. 나도 물론 고전이라는 책을 어렵다는 느낌으로 마주보고 있다. 더욱이 이 책 <오륜서>는 동양의 2대 병법서중 하나라고 하지만 나는 처음 들어본 책이었을 뿐이었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인 미야모토 무사시에 대해서는 간략하게나마 알고 있었다. 또한 이 책의 앞 부분을 잠깐 읽을 때 이 사람이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가를 느낄 수 있어서 이 책의 내용에 신뢰가 갔다.  

 또한 이 책을 풀어쓴 공병호 또한 우리나라의 저자 중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람 중 하나이기에 책의 내용에 더욱 믿음이 갔다. 이 책 <공병호, 오륜서의 도를 찾다>에는 미야모토 무사시, 한 사람의 삶에 대한 성찰이 담겨있었다. 근데 오륜서 자체는 사실 일반인들이 그냥 한번 슥 독서하는 수준으로는 이해하기에 난해한 부분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그것을 위해 오륜서의 다섯 개의 장 중 하나의 장이 끝날때마다 공병호씨가 그 내용에 대한 이해와 현실에 대한 적용을 알려주고 있는 책이다.  

 미야모토 무사시의 대단한 업적이 과연 운으로만 이루어진 것일까? 아니면 타고난 것으로 된 것일까? 아니면 그 외에 무엇이 있었던 것일까? 그 대답을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권한다. 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 열권을 동시에 읽어라
나루케 마코토 지음, 홍성민 옮김 / 뜨인돌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만약 이 책을 사고 싶다는 사람이 있다면 한 번쯤 재고해보길 바란다. 나는 이 책을 수중에 쓸 돈이 충분치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아주 흥미진진한 마음으로 산 케이스다. <책, 열권을 동시에 읽어라>라고 써있듯, 이 책은 많은 책을 한번에 읽기를 권한다. 이 책을 서점에서 본 후 흥미가 동해 잠깐 페이지를 넘겨보았다. 목차의 구성을 보니 참으로 충실했다. 그래서 원래 책에 관하여 충동구매는 자제하는 편인데, 충동구매를 했다. 이게 왠걸 내용을 보니 저자의 태도에 대해 대단히 안 좋은 반응이 일어났다.  

 일단 저자는 우리가 생각하기에 지위만으로 보면 성공한 사람이다. 하지만 인간적인 성숙은 덜 되어 있는 것일까? 책에서 독자들에 대한 배려를 전혀 안 한 말투와 자신만이 세계에서 최고라는 느낌이 강했다. 적당한 자신감은 독자들에게 신뢰를 줄 지도 모르지만 과도한 자신감은 불쾌감을 줄 뿐인데, 이 책의 저자는 딱 후자에 속했다. 혹시나 해서 다른 사람의 서평도 보았으나, 나만 그런 것을 느낀 것이 아닌지 다른 사람들도 이 책의 어투에 대해 안 좋은 감정이 많았다. 또한 저자는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이랑은 대화할 가치조차 없다고 했는데, 이것 또한 도발임에 틀림없다. 다 잘 살아보자고 책을 읽는 거지, 책을 안 읽는다고 그 사람을 동물취급한다는 게 말이나 될 법한 소린가? 혹시나 해서 목차의 제목안의 내용은 아니겠지 하는 생각은 안 하는게 좋다. 소제목 안으로 들어가도 이 저자의 안 좋은 점은 계속 보인다.  

 또한 초병렬 독서법이라고 거창하게 이름 지어진 10권 읽기 방법은 사실상 별 게 없다. 열권 정도 집에다 두고 읽는 것이 전부이다. 이 사람은 뭔가 대단한 것을 발견한 듯 말하였지만, 내가 보기엔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독서가들이 읽고 있는 수준이다.  

 마지막으로 말해보지만 이 책은 그냥 책을 많이 읽자~ 라는 내용 외에는 없다. 읽다보면 기분이 나빠지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저자가 진짜로 그렇게 글을 썻는지, 아니면 번역을 할 때 문제가 생겼는지는 몰라도 내가 보기에는 그닥 좋은 책이라 말할 수는 없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