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브르 곤충 이야기 사계절 아동교양 클래식 1
장 앙리 파브르 지음, 성기수 옮김, 백남호 그림 / 사계절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어렸을 때 파브르 위인전을 읽었던 것이 생각이 난다. 그 위인전에서 소개한 농부의 아들인 파브르는 다른 공부보다 곤충을 좋아해 곤충을 잡으러 다니는 아이였고, 또 곤충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한 아이였다. 그래서 파브르에 관하여 관심이 생겼었다. 당연히 파브르가 쓴 명작인 <파브르 곤충기>에 관한 설명도 위인전에 언급되어 있었다. 하지만 정작 나는 파브르에 관한 관심만 있었지, <파브르 곤충기>를 읽을 생각은 전혀 없었다. 어디서 딱히 보라고 주지도 않았을 뿐더러 곤충에 대한 애착이 남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파브르 곤충기>에 대한 생각은 잊고 있었는데, 우연히 아버지와 함께 일대백을 시청하던 중, <파브르 곤충기>에 관한 문제가 나온 것을 보았다. '아.. 저 유명한 책을 왜 아직까지 안 보고 있지?'하던 와중에 기회가 생겨서 파브르 곤충 이야기를 읽게 되었다. 물론 이 책은 파브르의 <파브르 곤충기>보다 내용이 부실하기는 해도 아이들이 곤충에 대해 알기에는 적당한 수준의 책인거 같다. 지금 생각해보니 어렸을 적에 파브르 곤충기를 못 읽은 것은 아마 그 책의 방대한 분량에 압도되어 내가 읽을 만한 수준의 책이 아니라는 마음이 앞섯기때문이기도  한 것 같다. 

 파브르 곤충기를 곤충에 대한 책으로만 생각하면 곤란하다. 파브르의 날카로운 시선으로 파브르는 곤충과 인간을 대조비교하여 인간의 나쁜 행태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 아직 어린 아이들에게 이 책을 권함으로써 곤충에 대한 지식을 늘리게 하고, 또한 적절한 교훈을 남겨줌으로써 아이들의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도 넓혀주는 것이 어떨까? 이 책은 옛날에 나왔던 <파브르 곤충 이야기>보다 훨씬 부드러운 설명과 원작에 충실한 책이라고 한다.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렸을 적에 잘못된 파브르 책을 읽은 어른들도 한번 쯤 눈도장을 찍어두는 것도 좋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 약함을 자랑하라 - 절망의 끝에서 나를 살리신 성령님의 음성
이효진 지음 / 규장(규장문화사)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는 아기 때 얼굴에 3도 화상을 입은 이효진씨이다. 여자에게는 얼굴이 생명이라고들 말한다. 이효진씨는 여자다. 여자로써 얼굴에 화상을 입고 사람들의 시선을 견뎌내기가 얼마나 어려웠을까? 난 남자이지만 만약 내가 얼굴에 화상을 입어 남들이 이상하게 쳐다보게 될 쯤이면 우울증도 생기고 대인기피증도 생겨 밖에도 나가지 못하는 신세가 되어있을 것이다.   

우리들 대부분은 약간의 열등감을 가지고 살아간다. 우리가 존경을 보내는 사람이거나 우리가 닮고 싶은 주위사람이거나 하는 사람들은 모두 어떠한 점에서 열등감을 가지고 살아간다. 하지만 만약 저자의 입장이라면? 그보다 더한 열등감으로 하루하루를 살아나가지 않앗을까? 하지만 이 책의 저자인 이효진씨는 자신의 외적인 부분에 대한 아쉬움을 종교로 극복해낸 케이스이다. 사실 종교라고 한다면은 일단 두드러기가 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이해한다. 나도 종교적 측면이라면 약간 꺼리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종교로 인해 한 사람의 인생이 긍정적이고 밝게 변했다는 데에 의의를 두어야 하지 않을까? 만약 기독교를 믿는 사람들이 모두 자신에 대한 불평을 행복으로 바꿀 수 있다고 한다면은 나는 기꺼이 주위 사람에게 기독교를 믿게 할 의향이 있으며, 나도 믿을 의향이 있다. 하지만 굳이 기독교를 믿지 않아도 여러 방법으로도 불평을 행복감으로, 열등감을 자부심으로 바꾸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기에 그러지는 않는다. 어쨋거나 이 책의 저자를 보면 법륜스님이 생각난다. 법륜스님의 말씀 중에서 열등감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기 전까지는 생기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는 데, 이 책을 읽는 동안 그 말이 생각낫다. 이효진씨는 자신의 신체적 열악함을 열악함으로 여기지 않는다. 또한 다른 사람과 비교를 해서 열등감을 만들지도 않는다. 오히려 한 사람의 존경받을 만한 롤 모델로 변해있었다. 

우리도 삶을 살아가면서 많은 열등감을 만나게 되겠지만 이효진씨처럼 생각을 한다면 우리는 삶 그 자체에 충실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하철과 코코넛 - 부와 성공을 좌우하는 '운'의 비밀
로빈 호가스 외 지음, 김정수 옮김 / 비즈니스맵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저자는 한명이 아닌 세명의 공동저서이다. 스피로스 마크리다키스, 로빈 호가스, 애닐 가바 이 세명은 각기 경영을 공부하고 이 책을 냈는데, 난 이 책의 첫 페이지를 펼칠 때부터 지적 쇼크를 받았다.  

 이 책은 우리가 얼마나 편견에 빠져 사는지 뼈져리게 알려주고 있는 책이다. 여러분도 혹시 비행기보다 자동차가 덜 위험하다고 생각하진 않는지? 나도 자동차가 훨씬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중 하나이다. 내가 운전을 안하더라도 말이다. 하지만 실상을 정확히 따져보면 자동차로 인한 사망자수와 비행기로 인한 사망자수는 비교할 필요도 없이 자동차의 압승이다. 이 책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파헤쳐준다.  또한 요즘 신문을 보면 거의 매일 의학적 통계자료에 관하여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예를 들자면, 어떤 한 음식에 관하여 이것은 이러이러한 이유로 우리들의 건강을 도와주죠 해놓코서 몇 개월 뒤나 몇 년 뒤면 그것을 번복하는 통계논문이 나온다. 이 책에서는 쉽게 그 예로 커피를 들고 있다. 내 생각에도 커피에 관한 통계논문을 많이 본것 같다.  

 '1950년대 이후로 커피는 지금까지 심장 질환이나 암과 관련이 있었다. 그런데 최근의 연구들은 커피를 마시면 심장 질환과 이형 당뇨병, 파킨슨병, 간경화, 천식, 그리고 심지어 난소암 등 다양한 질병의 위험을 줄여줘서 수명을 늘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라고 이 책에 쓰여있듯이 우리는 커피를 마셔야 하는가? 아니면 커피를 끊어야 하는가?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 되어버렸다.  

 여러분은 성공에 대해 자신이 관리를 한다면 성공이 올 것이라 생각하는가? 나는 평소에 위인이나 성공한 사람들의 책을 많이 읽는 편이다. 나도 이 사람처럼 하면 분명히 성공할꺼야라고 생각을 하게 되지 않는가?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고승덕의 <포기하지 않으면 불가능은 없다>란 책을 읽은 사람이 전부 고시 3관왕을 하는 것을 본 적이 있는가? 절대 아니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사람들의 성공에 대한 자기통제감의 취약점을 설명해주고 있다.  

 그러다보니 나도 범죄자에 대해서 생각이 난다. 요즘 사람들은 악성 범죄가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그것이 진정 사실일까? 여러분도 사실이라고 믿고 있는가? 내가 보기에는 그럴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다는게 내 견해이다. 정확한 수치가 없어서 확신을 못할 뿐이지 아니라는 쪽에 좀 더 기울어진 대답이다. 뉴스는 우리에게 자극적인 내용을 내보내는 것이 우선이다. 그렇다면 언론의 측면에서는 중범죄를 우선적으로 내보내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혹자는 우리가 예전보다 어두운 사회에서 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범죄를 저지르면 그만큼 발각되기 쉬운 사회에도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듯 우리는 판단에 관하여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 책의 위에 나열한 여러가지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촌 공생원 마나님의 280일
김진규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은 <달을 먹다>를 쓴 김진규 작가의 소설이다. 여담이지만 김진규 작가라고 하면 아마 일반 사람들은 남자를 생각할 것이다. 당연하게 김진규라는 이름은 우리나라 축구 선수도 있듯이 남자이름으로 널리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밋게도 실제로 작가는 여자이다. 아마 작가는 이름으로 꽤나 주위 사람들에게 성별에 대해 질문을 받았으리라 짐작된다.

 이 책은 특이하게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일반의 소설들의 배경은 거의 현대라고 볼 수 있는데 특이하게도 조선 성종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이 소설은 주목을 받게 된다. 아마 이 책이 드라마로 나온다면 퓨전 사극쪽으로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이 소설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유쾌한 분위기이다. 물론 개그 프로그램처럼 빵빵하고 터져주는 웃음은 없을지라도 피식피식이라든지 입에 미소를 담고 볼 수 있는 책이다.  

 주인공은 공생원이라는 작자이다. 공생원이 이름은 아니고 이름은 '공평'이고 직책이 생원이라 공생원이라고 불리운다. 공생원은 자신보다 훨씬 덩치가 큰 마나님이랑 산다. 어느 날 우리 공생원의 마나님은 임신을 하게 된다. 이런 축하할 일이... 라고 생각하겠지만 그게 아니다. 공생원은 아이를 가질 수 없는 몸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누가 애처가 공생원의 마나님에게 임신을 시켰단 말인가? 공생원은 어떤 놈이 이런 몰상식한 짓을 했는지 한명한명 찾아나선다. 

 이 책은 제목을 보고 바로 골랏다. 제목을 찬찬히 뜻어보면 별로 흥미가 안 생길지 몰라도 나에게는 왠지 제목부터가 위트가 느껴진 소설이었다. 아니나 다를까 이 소설을 읽으면서 나는 미소를 머금고 보았다. 공생원과 함께 마나님을 임신시킨 범인을 찾아가면서 유쾌함을 느낄 수 있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 읽는 도깨비 책귀신 1
이상배 글, 백명식 그림 / 처음주니어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앞서의 두 책과는 달리 약간 나이가 있는 어린이가 읽기에 적당한 책이다. 이 책의 주인공은 고리짝 도깨비이다. 고리짝 도깨비인 이유는 이 도깨비가 돈을 좋아하기에 돈궤로 쓰던 고리짝이 도깨비로 변한 것이다. 태생이 돈궤이다 보니까 당연히 고리짝 도깨비는 돈을 숭상하고 사랑한다. 계속계속 돈을 모으고 땅을 사서 고리짝 도깨비는 부자가 된다. 돈이 최고라고 생각했던 고리짝 도깨비는 공책 도깨비와 빗자루 도깨비와 여행을 떠나면서 생각이 달라지게 된다. 바로 그 이유는 선비를 만낫기 때문이다. 선비와의 내기를 통해 도깨비들은 자신의 무지를 깨닫고 자신들이 선비의 문제를 풀 수 있는 사람을 찾아다니게 된다. 어떤 야무지고 당찬 똑똑한 아이를 만나 세종대왕과 안중근의 존재를 알게 되고, 이 도깨비들은 세종대왕을 찾아간다. 세종대왕의 심부름을 하면서 고리짝 도깨비는 지식의 소중함을 알게 된다. 그래서 자신의 땅을 선비에게 주고 자신은 더 이상 돈을 밝히는 도깨비가 아닌 책을 밝히는 책 읽는 도깨비가 된다.  

 이 책은 일견 사회적인 측면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사회적인 문제점 중의 하나인 물질만능주의에 대해서 이 책은 꼬집고 있다. 고리짝 도깨비의 돈만 있으면 좋다는 생각은 현재의 물질만능주의로 대변될 수 있다. 사람이 처음태어낫을때의 갓난아기때에는 물질만능주의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돈이 무엇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아이가 점점 커감아 따라 어린이가 이 책을 읽을 정도의 정신적 성숙을 이루게 되면 돈에 대한 개념이 생길 것이다. 돈으로는 무엇이든 살 수 있고 먹고 싶은 것을 먹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을 나이가 된다. 하지만 물질만능주의가 어린이들의 머리속에 깊이 새겨지기 전에 이 책을 본다면 진정으로 사람에게 중요한 것이 돈인지 아니면 지식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