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중에
스티븐 킹 지음, 진서희 옮김 / 황금가지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5년 호주에 있을 때 서점에 들른 적이 있다.
서점에 도배되다 시피 늘어선 ‘스티븐킹’의 다양한 소설들을 보고 영미권의 가장 영향력있는 베스트셀러 작가라고 생각했는데, 2022년 거의 20년 가까이 흐른 지금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그의 글쓰기 활동과 샘솟는 창작력에 박수를 보낸다. 장르소설은 소재나 기발함 등 있어서 더욱 힘들텐데 말이다.

‘나중에’
작가가 누누이 말하지만 이것은 공포물이다. 그러나 어둡고 스산한 이야기는 절대 아니다.
엄마와 단 둘이 살고있는 꼬마 제이미는 어느날 교통사고 현장을 목격하며 본인이 죽은자를 볼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이 범상치 않은 능력때문에 원치않게 엮이게 되는 각종 사건들- 그리고 그것들을 해결하고 극복해 가는 과정을 통해 소년은 커간다. 칠면조를 우스꽝스럽게 그리던 작은 꼬마에서 스물둘 청년이 되기까지 일련의 사건들을 만나며 성장해가는 제이미를 따라가다보면 (내가 실제로 엄마라 그렇겠지만) 누구라도 엄마미소를 짓게 된다.
실제로 제이미란 캐릭터는 아빠없이 자라면서도 그늘하나 없이 늘 바르고 엄마를 배려하고 사랑하고 많은 일에 성숙하게 대하는 것이 그저 ‘바른아들상’의 워너비였다.

죽은자를 보는 능력때문에 원치않게 끔찍하게 죽은 시체들의 영혼을 묘사하는 장면이라던가, 마약이나 19금 이야기처럼 묵직한 이야기들이 기본적인 스토리 라인에 등장하지만, 작가의 유머러스함을 그대로 등장인물에 주입시킨 대화형 문체라던가 혼자만의 생각을 세련되게 표현해 낸 문장을 읽고 있으면 이건 공포물이 아니라 아주 재밌는 드라마를 보고 있는 기분이다. 특히 제목인 ‘나중에’를 반복적으로 글에 드러내며 표현한 부분들은 기똥차다.

재미있고도 읽기 쉬운 이야기지만 결코 가볍지 않고 반전에 감동까지.
반전에 대한 이야기라면 티아가 말한 것처럼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을 비밀들- 그 중 과연 제이미의 아빠가 누구냐 하는 것이었고,
감동에 대한 이야기라면 무엇보다 제이미와 엄마의 사랑 그리고 그저 한낱 이웃에 불과한 버켓씨와 두 모자의 우정이었다.

이야기는 큰 사건 후 평화롭게 마무리 되지만 아직 끝나지않은 테리올트와의 관계가 꺼림찍한것이 2편이 나올것인지 기대하게 만든다. 책의 마무리도 ‘차차 알게 될 것이다. 나중에.’라고 끝맺음 한 것을 보면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한뿌리작품을 생각해본다면 식스센스나 사랑과영혼 같은 영매를 통한 흥미진진하고 감동을 가진 영화들일터, 이 책도 현재 영화제작중이라니 심히 기대되는걸?

어느덧 여든을 향해가는 작가님의 나이가 무색하게 정말 세련되고 군더더기없이 재미있는 소설임에 말해 뭣할까. 스티븐 킹이라는 위대한 작가와 같은 시대를 살아 이런 기발하고 멋진 책들을 읽고 영화로도 볼 수 있음에 감사하다.

127- 한번 데이면 두번째는 겁이 나는 법이지. 우린 문제없어, 그게 중요해.

180- 성장한다는 것은 우리를 입 다물게 만들어버린다는 점에서 최악이다.

188- 누군가에게 모든 걸 다 털어놓고 싶었다는 말은 앞에서 이미 한 적이 있다. 하지만 정말로 실행에 옮기고 나서야 나는 그게 굉장히 위안이 되는 일임을 깨달았다.

230- 신념이란 뛰어넘기엔 너무 높은 장애물이다.

240- 작은 소년은 어느덧 자라서 키도 훨씬 커졌다. 나이를 먹고, 키도 크고, 어쩌면 더 현명해졌을지 모르지만 그때 그 사람이라는 건 변함이 없었다. 우리는 변하면서도 변치 않는다. 뭐라 설명을 할 순 없다. 미스터리다.

245- 누구나 비밀이 있는 법이야, 제이미. 너도 때가 되면 깨닫게 될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