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많이 지쳐 있습니다 - 일, 관계, 삶의 과부하 속 내 마음 회복수업
로라 판 더누트 립스키 지음, 문희경 옮김 / 더퀘스트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현대인들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과부하

우리는 쉽게 피로하고, 쉽게 무기력함을 느낀다.

무엇보다도 나랑 상관이 없는 정치인들의 부패뉴스를 볼때도 우리는 피로감과 스트레스를 느낀다.

나 자신에 대해 통제권을 잃는것, 그것이 과부하다

우리에게는 회복이 필요하다

 

일단 외부에 나 자신이 노출되는 것을 조절하고 때론 어쩔수 없음을, 완벽하지 않음을 인정한다

나 자신의 상태를 알아차리고, 의식적으로 통제할 때 과부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스스로 통제가 가능한 만큼의 일을 한다

다가가고 유지하고 멈추은것을 판단하여 힘든 상황에서도 나 자신을 지키는 법을 찾아야 한다.

상황이 힘들게 만들때면,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져 흘러가게 내버려 두는것도 방법이다.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그동안 살아온 방식을 이해하고, 앞으로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될 선택을 훈련한다

 

책의 말미에는 활력을 기르는 몇가지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단순해지기, 마음과 몸 연결하기, 자연을 감상하거나 종교에 의지하기, 예술 감상하기 등등

집착은 고통의 근원이라고 한다. 사람과의 관계, 사물에 대한 애착, 상황에 대한 얽매임

모든것에서 한발짝 물러나 좀더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생각하기가 필요한 요즘인 것 같다.

 

 

 

 

온전하다는 것은 완벽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깨진 부분도 오롯이 수용한다는 의미이다. 자기를 수용하고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능력은 온전한 나로 살기 위한 중요한 포인트다. 이때 자신의 문제를 완전히 흘려 보내지는 못해도 적어도 한동안 떠내려가게 놔둘 필요는 있다. p96

 

 

'내가 맞은 거대한 폭풍'은 영원하지 않다. 그렇다고 내게 닥칠 마지막 폭풍은 물론 아니다. 앞으로 더 많은 폭풍이 불어 닥칠 것이다. 중요한 것은 불을 피워 따뜻하게 유지하면서 폭풍이 지나가길 기다리는 것이다. 이런 불(우리가 쌓아 놓은 일상과 습관과 인간관계와 대처능력)이 있으면 내리는비를 홍수가 아니라 거름으로 볼 수 있다.'- 팀 페리스 p1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