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을 사랑하는 기술 - 물과 공기가 빚어낸, 우리가 몰랐던 하늘 위 진짜 세상
아라키 켄타로 지음, 김정환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미세먼지 덕분에 이제는 잊어버린 하늘과 구름에 관한 이야기다.

그래서 인지, 어쩌다가 새파란 하늘에 하얀 구름이 두둥실 떠 있으면 감탄하면서 자연스레 사진을 찍게 된다.

구름은 어떻게 생겨난것일까? 구름에도 이름이 있을까? 다 같은 성질일까?

그야말로 구름의 백과사전같은 책이다.

구름은 한순간도 같은 모양의 구름이 없다. 오늘 만난 구름은 다시는 만나지 못한다.

하늘을 올려다보며, 예쁜 구름을 바람보는 것만으로 우리는 기분전환을 한다.

구름의 모양으로 날씨를 예측할 수도 있고, 집중호우라던가, 지진, 허리케인 같은 다가올 재난에 대비 할 수도 있다.

평소, 후지산이나, 한라산 꼭대기에 걸쳐진 구름을 보며, 어쩜 저렇게 모자쓴거 같은 모양의 구름이 생겨 났을까

궁금했는데, 이 책을 통해 그 이름이 삿갓구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지의 경사면을 따라서 흐르는 산넘이 기류의 흐름에 따라서 만들어지며, 발생과 소멸을 끊임없이 반복한다고 한다. 이 사실을 알고나서, 여행가서 찍어온 사진을 보니 제각각 삿갓구름의 형태가 달라 보인다.

또한 대기속 수증기와 햇빛이 만들어 내는 다양한 무지개 이야기도 담겨 있다.

예쁜 하늘을 보면, 사진을 찍고 두둥실 뭉게구름에 감탄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이 또다른 휴식을 안겨다 줄꺼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