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개마무사 (양장) - 700년 고구려 역사를 지켜 온 불패의 상징, 과학과 상상력으로 만나는 우리 문화유산 2
이종호.윤석연 지음, 정준호 그림 / 열린박물관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개마무사라는 말은 처음에는 낯설게 들렸지만, 책을 보면서 고구려의 개마무사라는 기마병에 대해 알 수 있게 되었다. 아이도 그림에 호기심이 끌려 보기 시작하다가 내용에 푹 빠지는 것 같다. 물론 아이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내가 설명해 주면서 보았지만....

개마무사는 중무장한 기마병이다. 말까지 철갑옷으로 단단히 무장시키고 키보다 기다란 창을 들고 수와 당나라의 군대를 교란시킨 무적의 철기병. 그것이 개마무사이다. 개마무사가 출현하면 적군은 그 위용과 위력에 눌려 혼비백산해 적의 진열은 흩어지고 뒤이어 고구려의 날랜 경기병대와 보병이 흩트러진 적군을 공략하는 것이다. 고구려는 이렇게 전략적으로 개마무사와 경기병, 보병 등을 운용하여 불패의 신화를 이룩했다고 한다. 하긴 지금 중국의 동북공정이라고 하는 역사왜곡작업이 한창인 때에 우리의 역사를 제대로 아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어디 있을까.

사실은 사실대로 알아야 하고, 과거의 역사는 과거의 역사대로 역할과 가치가 있을 것이며, 무조건 우리의 과거 역사를 찬양하고 호감만 가진다고 현재의 현실이 바뀌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 책은 과거 찬란했던 대제국 고구려의 역사를 바로 알게 하면서 현재의 우리들에게 무엇인가 힘을 줄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아이들이 보면서는 나름대로 역사적인 상상력을 풍부하게 할 수도 있을 것 같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인돌 - 한반도 고대국가 형성의 비밀이 담긴, 과학과 상상력으로 만나는 우리 문화유산 1
이종호.윤석연 지음, 안진균 외 그림 / 열린박물관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인 우리나라 고인돌에 대한 어린이 역사책이다. 시리즈 제목이 '과학과 상상력으로 만나는 우리 문화유산'임에서 알 수 있듯이 고인돌에 담긴 선조들의 과학적 지혜가 역사적 배경과 함께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펼쳐진다. 물론 상상력이라는 것이 최소한의 추론이겠지만, 장대한 우리 역사의 밝혀지지 않은 비밀스런 부분을 설득력있게 개연성을 가지고 생생한 묘사와 표현으로 서술하고 있는 점에서, 어린이책의 한계를 뛰어넘어 상당히 가치있는 책이라고 생각된다.

단순한 사실 나열의 어린이 역사책이 아니라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주제적으로 접근해서 잘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다. 스토리 텔링에 그치지 않고 요소요소에 역사적이거나 과학적인 상식이 팁으로 들어가 있고, 책 맨 끝에는 이 책의 내용을 총정리하는 테마학습이라는 코너를 둔 것도 독자를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

고인돌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당시 시대 사람들의 생생한 움직임으로 묘사되고, 그렇게 만들어진 고인돌이 가진 의미, 만들어진 이유를 고대 청동기 시대의 사회상과 함께 설명하고 있어 현장감있게 고대시대의 역사를 들여다볼 수 있게 쓰여졌다. 또 고인돌에 담긴 우리 민족의 고유한 천문학 발달과 국가형성의 과정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었다.  어린이들에게는 약간 추상적인 개념도 들어 있지만, 5,6학년 정도의 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이 보기엔 충분한 것 같다. 무엇보다 저자의 고인돌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이, 그리고 고인돌이 가진 가치와 의미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게 느껴지는 서정적인 글이 맘에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