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23 - 애도의 방식
안보윤 외 지음 / 북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인공 동주는 학교 폭력 피해자이다.

가해자 승규는 동주를 괴롭히다가 사고로 죽는다.

마지막 순간 둘이 같이 있었다는 이유로 동주는 살인자로 오해받는다.

아이러니하게도, 동주는 자신을 지키기 위해 학교폭력 사실을 부인한다.

​학교폭력으로 인해 피해자들은 자살까지 하는데,

학교폭력 자체가 살인죄보다 가볍다는 데 안타깝고 씁쓸하다.

동주는 결국 자신이 당한 그 모든 행위에 대해서

아무런 사과를 받지 못한 채로 끝났다.

안보윤 작가의 인터뷰를 통해 애도라는 단어가

죽은 학교폭력 가해자를 칭하는 말이 아니라는 것이 드러난다.

살아 있지만 비난과 왜곡을 감당해야 하는 동주에게 애도를 건넨다는 면에서,

이 소설은 나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서이초 선생님의 사건을 보여주는 듯한, 선생님이 주인공인 소설이다.

학생이 선생님을 괴롭히고, 선생님이 말을 듣지 않는다.

그러나 학부모는 선생님에게 폭력을 가하고,

학교 측 또한 선생님의 억울함에는 관심이 없었다.

결국 주인공은 직업을 그만두고 무인 매장에서 일한다.

피해자가 학교를 떠나고, 가해자들이 남아 있는 것이 정말 불합리하다.

지혜 작가 <북명 너머에서>, 신주희 작가 <작은 방주들>

백화점에서 일하던 두 여성과 회사에서 일하는 두 여성의 이야기의 흐름이 비슷하다.

둘은 처음에는 무척 가까운 사이였지만 어떤 사건으로 인해 멀어진다.

마지막으로 주인공이 멀어진 사람을 그리워한다.

<북명 너머에서>는 신문에 편지를 써 보고, <장은 방주들>에서는 친구가 가고 싶었던 우유니 소금사막으로 가는 행동에서 그리운 감정이 드러난다.




김멜라 작가 <이응 이응>

제목이 궁금증을 주어서 읽기 전 무척 기대되었는데

충격적이고 파격적인 내용으로 기대감을 채우고도 남았다.

이응 이응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자위 기구였다.

보통의 자위 기구가 숨기고 터부시되는 것과는 다르게

이제는 욕구의 충족으로 인정받고 거리낌없는 대화의 소재가 된다.

이 기기의 등장으로 시험관 아이 등 다양한 가족 구조가 인정받는다.

중간에 이 기구를 반대하는 사람들이 나온다.

정상성에 집착하는 그들의 모습은 기이했다.

강보라 작가 <뱀과 양배추가 있는 풍경> 비판적으로 보던 문화를 포용하는 과정,

김인숙 작가 <자작나무 숲>은 할머니와 손녀의 관계를 표현했고,

김병운 작가 <세월은 우리에게 어울려>는 퀴어 사촌을 마주하는 것까지

모든 작품이 풍부한 내용으로 생각할 거리를 남겨둔 점이 좋았다.​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을 읽으며 느낀 것은

주인공들이 정말 우리 주변에 있을 것 같다는 것이다.

픽션이지만 현실성이 느껴진다는 점이 완성도를 높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