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동력 -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해내는 힘
호리에 다카후미 지음, 김정환 옮김 / 을유문화사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저자식 표현대로 체감시간이 짧아 기분좋은 독서였다. 일반적 자기계발서는 문학처럼 인물의 갈등이 없으니 술술 읽히지만 어느 순간 저자와의 갈등이 시작된다. '너 지금 행복하지 않잖아?', '계속 초라하게 살거야?', '성공하려면 나처럼 해!'라며 꼰대처럼 가르치고 정신을 계몽하려드는 작가와 '이러면 누가 성공 못해?', '이거 뭐 결국 지자랑이네', '또 하라는건 왜 일케 많지?' 하며 힘겨루기를 한다. 그래서였다. 책이 완벽해서가 아니라 싫어하는 자기계발서의 뉘앙스를 풍기지 않는 작가의 시선과 화법이 신선해서 좋았다.
-
일단 쉽고 재미있고 신선해서 술술 읽힌다. 획일화된 교육에 최선보다 최고를 부르짖는 완벽주의를 강요받고 세뇌당한 사람들이라면 완벽보다 완료에 의미를 두라는 작가의 말이 조금쯤 숨통을 트이게 한다. '꿈이 뭐냐?'는 아주 뻔하지만 어려운 질문을 마주하면 정작 부모와 주변의 기대에 부응하고자 꿈이 아닌 직업을 들먹인다. 해야하는 일들은 줄줄 꾀지만 하고 싶은 것들은 생각하지 않거나 비밀인양 묻어둔다. 어쩌면 저자는 묻어둔 꿈과 남모르게 적어둔 버킷리스트를 꺼내 'just do it' 하라고 용기를 주는것 같기도 하다.
-
평생 한 직장에서 한 가지 일만 꾸준히 하거나 3년간 허드렛일을 하면 맛의 비결을 가르침 받는 장인 정신을 미덕으로 생각하던 시절이 있었다. 물론 그들의 삶의 방식을 부정할 생각은 없지만 1등은 한명만 존재하고 그들을 위해 2등은 소모되는 시스템이 난무한다.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돼 업계의 장벽이 무너지고 있는 지금, 아직도 그런 개념에 얽매여 다른 가치를 놓쳐버린다면 정말 도태되는게 아닐까!
-
본문 시작 전 제목(목차)에서 핵심을 말하고, 본문에서 필요한 것만 직설적으로 전달한 후 마지막에 'just do it'하고 실천팁을 주고 있어 효율적인 독서를 하게 해준다. 40대 후반의 저자를 젊은 작가로 착각하게 한 시선과 생각들이 '속도보다는 리듬'이라고 말하는 작가와 똑닮은 책인듯 하다. 역시 젊음은 나이가 아니라 깨어있는 생각이라고 다시 느끼게 하는 책이기도 했다.
-
우리는 모두 대체불가능한 사람들이다. 하지만 일에 치이고 자존감이 바닥을 치고 수많은 실패를 겪으며 그런 사실을 자주 잊고 산다. 저자는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는 힘인 ‘다동력’으로 대체 불가능한 인재가 되고 업무 효율성을 높여 ‘나 자신의 시간’을 찾는 방법을 제시했지만 어디 다동력이 업무에만 적용되는 것일까?
-
그러고보니 팔방미인이라거나 우리를 열광하게 했던 히딩크식 멀티플레이어라는 단어를 보면 다동력이란 우리가 몰랐던 전혀 낯선 단어는 아니다. 단지 각자의 리듬을 잊고 앞서가는 사람의 등만 쫓다보니 방향을 잊고 속도를 냈던게 아닐까. 저녁이 있는 삶도 중요하지만 꿈이 있는 삶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
개인의 능력치를 무시하고 속도에만 집중하지 말고 자신만의 리듬을 찾는다면 더이상 7포세대, 경단녀, 맘충, 혐오 같은 슬픈 단어들이 줄어들지 않을까? 술을 좋아해 이번 생은 아침이 없다고 소신있게 밝힌 작가처럼 나 역시 무엇이 되고 싶다기보다는 아직도 재미있는 무엇을 하고 싶은 그런 철없는 사람이라고 밝히며 하나씩 just do it 해야겠다.
-
<책속의 한 줄>
📍'완벽주의자'는 이미 끝낸 일을 확인하고 또 확인하느라 개미지옥에서 빠져나오지 못한다. 그러나 지향해야 할 것은 '완벽'이 아니라 '완료'다.
.
📍일단 시작해 본 다음 수정해 나갑시다.
.
📍중요한 것은 '절대 시간'이 아니라 '#체감시간'이다.
.
📍유한한 인생이므로 '나 자신의 시간'을 무조건 양보해서는 안 된다.
.
📍중요한 것은 속도보다는 리듬이다.
.
📍수면이야말로 인생을 충실히 살기 위한 최우선 사항이다.
.
📍'다동력'을 지니기 위해서는 어떤 지식이나 업무술을 익히기에 앞서 '감정'의 필터를 제거해야 한다.
.
📍왜 다들 지금 가지고 있는 것을 어떻게든 활용하자는 발상을 하는 것일까? 그런 거지 근성이 있으면 결국은 손해를 보고 만다.
.
📍중요한 것은 'just do it'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