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심은 사람
장 지오노 지음, 마이클 매커디 판화, 김경온 옮김 / 두레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너무나 유명한 작품이고 누구나 한 번씩은 보았던 작품이다. 

그러나 솔직한 나의 감상을 쓰려고 한다. 

처음 이 글을 읽은건 교과서에서였다. 국어 교과서에서 처음 이글을 접했다. 당연히 전부가 아닌 지극히 일부분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우습게도 TV였다. 모 프로그램에서 동화로 나왔다. 거기서 다시 한번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책으로 다시 읽었다. 

좋다. 

읽고 있으면 가슴이 따뜻해지고, 또 두근거린다. 

거대하지도, 화려하지도 않지만 그러면서도 읽기를 멈추지 못하게 하는 마력을 가지고 있다. 은은한 향의 커피를 마시는 기분이다. 

 그러나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도 있었다. 

메시아. 

나는 이 글에서 메시아를 보았다. 나무를 심은 사람. 아니, 나무를 심는사람은 이 글에서 메시아로 비추어졌다. 

산업화로 인간의 욕심으로 황폐화되어가는 세상에서 오로지 단 한사람만이 누구도 관심갖지 않은 일을 시작한다. 우공이산이라 했던가? 긴 시간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하는 그 사람으로 인해 세상이 변화한다. 

전세계로 보면 극히 일부일지 모르나, 그건 가능성이었다. 

여기서 나는 메시아를 보았고, 종교적 색체를 느꼈다. 

개인적으로 종교적인 색이 강한 글을 좋아하지 않는지라 거부감이 들었다. 

그러나 그런 점을 감안하더라도 이 글은 분명 읽어봐야 할 작품임에는 틀림이 없다. 어쩌면 이 작품이 지금까지 마음을 울릴 수 있는 이유는 이득만을 쫓는, 욕심으로 가득차버린 지금의 세상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어찌되었던 이 감상은 지극히 개인적이고 사적인 시선으로 바라본 감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