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허버트 제틀 지음, 박덕춘 외 옮김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영상 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저자 허브트 제틀
출판사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2.00.01

 

목차


  • 1 영상미학 ...30
    2 제1미학 : 빛 ...48
    3 제2미학 : 조명 ...67
    4 색 ...86
    5 색의 기능과 구도 ...111
    6 2차원 영역 : 구도 ...126
    7 2차원 영역 : 힘 ...145
    8 2차원 영역 : 힘의 상호작용 ...178
    9 3차원 영역 : 화면의 깊이와 볼륨 ...208
    10 3차원 영역 : 화면의 입체감 ...234
    11 화면의 구성 : 시각화 ...257
    12 4차원 영역 : 시간 ...285
    13 4차원 영역 : 동작 ...305
    14 4차원 영역 : 타이밍과 주요 동작 ...327
    15 4차원 영역 : 연속 편집 ...352
    16 4차원 영역 : 복합 편집 ...360
    17 5차원 영역 : 음향 ...397
    18 5차원 영역 : 음향 구조와 음향 - 영상의 결합 ...423

커뮤니케이션 북스의 영상 제작의 미하적 원리와 방법은 영상관련된 일 또는 흥미,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꼭 한번 읽어보아야 될 책이라고 말하고 싶다.

지금껏 읽어본 영상미학관련 도서중 으뜸이라고 칭할수 있을 정도로 책의 구성과 내용은 잘되어있다.

초보자가 읽기에는 다소 어려운 감은 있으나 조금이나마 영상에 대해 알고 있고 알려한다면 이 책을 읽기를 바란다. 

이 책은 단지 카메라의 구도와 몽타주가 아닌 빛과 색, 조명 편집과 음향의 조화까지 다루어 좀 더 깊이 있고 완성도 높은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내용이 있다.

화면의 시각화가 단지 카메라워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모든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었을때 좋은 영상이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영상제작의 기초를 다지고 나아가 응용하여 많은 연출의 시도들이 나타나길 바란다.

책을 순서대로 읽기보다는 관심영역이나 모르는 영역을 찾아서 읽기를 나는 권한다. 책의 페이지가 적은 양이 아니고 이해하기에 어려운부분도 많기때문에 처음부터 읽어나가다간 금새 흥미를 잃을 수 있을 것 같다.

책을 두고두고 보면서 이해하고 응용한다면 영상제작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 스터디 : 위대한 영화는 어떻게 만드는가?
리처드 D. 페퍼맨 지음, 이찬복 옮김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신 스터디 : 위대한 영화는 어떻게 만드는가? 

우선 대본형태의 책 모양부터 무척이나 마음에 든다. 이 책은 제목 그대로 신들의 의미 정보 등 을 알려주며 그로써 작게는 하나의 신을 넓게는 영화를 탐구한다. 책을 훌터 보았을 때 스틸이미지들이 배치되어 있어, 읽기 재미있고 편할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사진이 많다고 해서 읽기 수월하지는 않다. 한 영화의 하나 하나의 신들을 보고 의미와 해석을 보고 다시 신을 보고 글을 보고 참 생각을 많이 하게 해주는 책이다. 인쇄매체의 여건상 모든 샷들을 나열해 신으로 표현할 수 없기에 하나의 스틸이미지에 스토리와 카메라 워킹이 적혀 있지만 머리속으로 떠올리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렇게 읽던 중 내가 본 영화가 나왔을 때 아~ 라는 탄성이 나오며 이해할 수 있었다. 필자는 그래서 추천한다. 신 스터디에 나온 영화를 읽고 보던지 아님 보고 읽는 것을 말이다. 신 스터디에 수록된 영화들은 거의 다 고전 영화이며 고전 중 에서도 명작들이다. 이거 하나는 필자가 말 할 수 있다.  

네러티브 영화를 좋아하고 영화를 보면서 혹은 보고 난 후 생각이 많아 지는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신 스터디에 수록된 영화를 보세요. 그리고 다시 신 스터디를 읽으세요. 영화를 관람하는 또 다른 재미와 스킬이 생길 것입니다.   

한가지 아쉬운점이 있다면 몽타주와 미장센, 셔레이드와 같은 영화 문법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이 신은 영화의 전체 중에 어떠한 의미를 두며 어떠한 효과를 사용하였다."와 같은 설명은 신 스터디의 책을 더욱더 풍성하게 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