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 국어 1등급을 위한 중학 국어 만점공부법
서정재 지음 / 믹스커피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어가 어려운 이유는 보통 읽어도 이해가 안된다는 것이다. 보통 어휘력과 독서 경험의 차이 때문이라고 작가님은 말씀하신다. 어렸을때부터 체계적으로 많은 책을 읽고 어휘 학습을 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은 당연히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국어는 최소 다섯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학, 문법.

듣기와 말하기는 하나로 보고 특히 다양한 분야의 지문을 읽고 이해하는 비문학 읽기 영역이 어려운 것 같다. 쓰기는 중요한 수행평가 하는데 필요하니깐 더 자세히 보았다. 쓰기영역 쓰기전에 준비 과정을 거치고, 내용을 정리한 후에 쓰면 더 좋은 글이 나오는데 대부분 고민을 좀 하다가 바로 쓰기 시작한다. 글쓰기 접근 방법을 안다면 학교 평가 일상적인 글쓰기에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쓰기뿐 아니라 토론과 말하기도 중요하다. 말하기를 할때도 내용을 조직하는게 필요한데 도입부-전개부- 결론부로 나눠 준비한다.

도입부에서는 듣는 사람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해 집중할 수 있게 하고 전개부에서는 본인이 말할 내용에서 중요한 내용을 강조하고 마지막 결론부에서 듣는 사람의 기억에 남도록 핵심 내용을 다시 정리해주는게 필요하다.

내가 옳다는 걸 증명하기 위한 말하기인 토론은 토의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토론은 상대방에게 우리의 입장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토론의 논제에 대해 명확하게 찬성과 반대로 나뉘는 특징이 있다. 토의는 어떤 문제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에서 접근할 수 있지만 토론은 아군과 적군이 분명히 존재한다.

제대로 읽기 위한 독서방법으로는 훑어읽기- 질문하기- 읽기- 되새기기-복습 순으로 하면 좋다. 훑어읽기는 읽기전 사전 조사를 하는 단계로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최대한 많이 수집한다. 질문하기는 궁금한 부분이 있으면 책을 더 적극적으로 읽게되기에 필요하고 꼼꼼히 읽는 과정을 거쳐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은 후 읽은 후 내용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는 되새기기와

자신이 읽은 내용을 확인하는 복습하기까지 하면 책 한 권도 제대로 읽게된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쓰기영역의 성취기준은 쓰기의 과정을 이해하고 주제, 목적, 독자, 매체등에 따라 효과적인 표현 방법을 사용해 다양한 유형의 글을 쓰는 능력을 갖추는데 중점을 둔다. 쓰기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실패를 하더라도 많이 써보는 것이다. 평소에 읽은 책에 대한 독서기록을 하는 것이 가장 접하기 쉬운 쓰기일 것이다. 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문단 들여쓰기를 하지 않는다는 것과 똑같은 형식과 분량으로만 글을 쓴다는 것이라고.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문단 나누기 꼭 해야 하고 글쓰기는 아무 준비없이 바로 쓰는 것이 아니라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표절이나 연구 결과 등의 왜곡을 하지 않는 쓰기윤리 또한 글쓰기에서 중요하다.

글쓰기는 무작정 하는 것이 아니라 쓰기전에 여러 과정을 거치는게 좋다. 일반적인 쓰기 과정은 계획하기-내용 생성하기-내용 조직하기-표현하기(초고)-고쳐쓰기 순으로

위 순서에서 표현하기 전에도 이전 단계를 수정하고 보완하는 것이 좋다. 쓰기 수행평가 만점 비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주어 글쓰기 틀이 제시되어 예를 들어 설명해주어 도움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