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티베트 밀교의 명상법
게셰 소남 걀첸 곤다 지음, 석혜능 옮김 / 불광출판사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그동안 명상에 대한 여러서적을 읽어보았다.

기존서적과의 차이는 명상의 방법에서 과정적 접근방법이 일반인이 좀더 친숙하게 티벳트라는 명상에 대하여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에는 현교와 밀교가 있다.

그중에서 밀교 즉 탄트라의 가르침을 배우는 것이 이책의 핵심이다.

물론 결과적으로 깨달음과 행복에 도달하는 것으로써 결론은 같다 하지만 방법론적인 차이가 주요하다

현교는 깨닫음에 일으는 원인을 만드는 것이라할수가 있으며 밀교는 이미 깨달았다고 생각을 하며 수행을 하는 것이다.

또한 명상은 집중적인 명상법인 사마타가 있으며 분석적으로 하는 명상법인 위빠사나가 있다

또한 책에서는 부모님 특히 어머님의 은혜에 대한 부분이 나온다.

우리가 이땅에 태어나기 위하여 열달동안 부모님의 사랑으로 행복한 마음을 담아야 한다.

책은 기초적으로 불교도인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명상법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일반인 특히 타종교를 가진분들도 대상을 부처님이 아닌 자신의 종교지도자로 바꾸어 수행을 할수가 있다. 모든종교는 하나로 통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이땅에서 열심히 행복한 생활을 하고 열심히 선한일을 하는 것이 깨달음으로 가는 지름길일것이다.

깊어가는 가을밤 명상의 세계에 한번 빠져서 나와 세계를 깊이 주시하는 것도 좋을 듯 싶다.

책에서 하는방법이 어렵다면 우선은 아무생각말고 가만히 앉아서 그냥 눈을 감고 마음이 하는 생각을 지켜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그리고 능숙하게 이것을 실행할수가 있다면 책의 방법을 적절하게 자신에게 맞추어 시킨다면 명상의 만족감을 더욱 더 크게 느낄것이 확실하다.

아는것과 행동하는 것은 다르다

본인이 직접 그세계의 맛을 알아야 참맛을 느낄수가 있어야 행복감도 만족감도 얻을것이 확실하다.

어렵다고 생각하면 어려울수도 있지만 좀더 진지하게 명상의 방법론적 기법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이책을 일독하고 실행하는 것도 명상의 계획적인 접근에 큰 도움이 될것이다.

서양의 비틀스라는 그룹 덕분에 전세계적으로 명상이 유명해졌다.

이명상을 맛을 모든사람들이 알기 시작했다는 의미가 되기도 한다.

끝으로 책속의 전부를 읽지 않더라도 명상의 준비단계며 실제명상법등을 꼭 한번 살펴보고 명상의 실행에 옮기어 행복한 생활을 모든분들이 함께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틱낫한의 행복 - 두려움과 걱정을 물리치고 사랑의 마음을 기르는 행복한 명상
틱낫한 지음, 진현종 옮김 / KD Books(케이디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글과 그림이 너무나 마음에 와 닿는것을 느낄수가 있다.

왼쪽페이지에는 아름다운그림이 오른쪽 페이지에는 마음을 일깨우는 글이 나를 깨운다. 우리는 행복을 위하여 어떻게 행위를 하여야 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우리는 화를 내는 마음을 관찰하고 화를 잠재워야 행복을 담을수가 있으며 미래나 과거에 집착을 한다면 행복을 느낄수가 없다.

우리 사람들 마음속에는 화라는 씨앗이 있다고 한다.

화라는 씨앗에 물을 뿌린다면 화는 점점 자라기 마련이다.

그래서 나를 불행의 늪으로 인도한다.

하지만 우리가 화를 내는 자신을 관찰하고 화가날경우 아무런 행위를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화로부터 벗어날수가 있다.

또한 상대방과의 관계가 밀접하다고 한다면 나의 마음의 지금 화가난상태인것을 용기있게 이야기한다면 상대는 나를 좀더 싶게 받아줄수도 있다.

 

플럼 빌리지라는 프랑스의 장소에서는 이러한 수련을 하는 지역이 있으며 자세히 과정을 설명한 내용이 아주 마음에 든다.

우선 이곳은 일반적인 사찰과는 달리 아무런 제약이 없으며 자신을 관찰하는 전념이라는 것을 중히 여긴다고 한다.

또한 2주이상 전념을 할것을 요구한다고 한다

그래야 생활의 습관이 되어서 일상생활에서도 자연스럽게 나를 찾을수가 있다고 한다.

기존의 형식을 거부하고 자연스럽게 모든것을 받아들일때 우리는 마음의 평화와 내면의 행복을 경험할수가 있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몸과 마음에 모든것을 맡기고 관찰하는 전념이라는 것에 대하여 많은 것을 알수가 있었다.

 

두려움이 생기는 이유는 우리는 비존재라는 관념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존재와 비존재는 서로반대어가 아닌 우리의 관념체제라고 한다.

얼마전 영혼과의 여행이라는 책을 통해 본 내용도 거의 같은 내용이다.

우리는 본질적으로 하나의 물질로부터 발생되었다고 한다.

다만 이지구로 오기전 자신의 100퍼센트중 50퍼센트정도는 근원적인 영혼체제에 맡겨둔다고 한다.

그래서 잠을 자게 되면 우리의 영혼은 근원적인 영혼과의 교류를 통하여 에너지를 얻고 힘을 내게 된다고 한다.

동서양의 수많은 서적이 잠자기전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것을 생각해보면 충분히 이해가 될수가 있다.

틱낫한의 플럼 빌리지에서도 잠자기전부터 아침까지의 침묵을 강요한것도 계속된 전념을 유지할수가 있도록 우리들의 영혼과의 만남을 통하여 하나를 이루도록 도와주는 의미는 아닌지도 모르겠다. 

 

책에서의 내용중 마음에 드는 내용은 우리는 행복을 미래의 어딘가에 있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지금이순간이 정말 중요하기 때문이다.

현재의 이상태가 나에게는 행복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지금 나의 존재가 행복이다.

 

과거와 미래에 너무나 집착을 하고 어떤것을 이루고 나서 행복을 찾겠다고 한다면 결코 행복을 만날수가 없다.

그냥 지금 행복에 머물러 있으면 행복은 우리에게 다가온다.

 

아름다운 그림이 나를 정말 행복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