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러움 코드 - 너와 나를 우리로 만나게 하는 소통의 공간
신화연 지음 / 좋은책만들기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부끄러움이라는 단어에 내포되는 의미는 아마도 부정적 의미가 많이 들어 있을 것이다.특히 저자의 주장처럼 얼굴과 관련된 의미가 많을 것이다 낯이 뜨겁다 얼굴이 빨개진다등 여러표현이 있다.

이책은 기존의 우리들에게 알려진 부정적인 이미지외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부끄러움이라는 의미에 대하여 알려주고 있다.

서양에서는 부끄러움을 죄의식이라는 의미로 많이 사용을 하였으며 동양에서는 수치스러움이라는 뜻으로 사용이 되었다.

최근의 우리의 문화가 서구화 되면서 부끄러움이란 표현을 죄의식또는 자기비하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나,오히려 서양에서는 동양의 수치스러움이라는 의미로 도덕화하는 방법을 배우고 있다.

사실 이러한 구분은 애매하고도 의미가 별로 없다고 할수도 있다.

그러나 도덕이라는 의미로 재해석을 할경우는 우리의 가치로도 새롭게 인식을 할수가 있을 것이다.

범죄를 저지른 범인이 사실을 자백하지 않을 경우 간접적인 부끄러움을 떠올리게 하여 스스로 죄를 뉘우치고 피해자 가족들에게 사죄를 하는 경우가 간혹 발생을 한다. 그것은 범인 스스로 부끄럽고 인간적인 도덕율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을 할수가 있다.

우리인간에게는 부끄러움이란 스스로의 통제된 행위된 도덕의 표현이다.

크게 나아가서는 남을 배려하는 하나의 척도된행위이자 남과나의 새로운 의사소통의 도구라고도 할수가 있을 것이다.

책속의 여러사례등을 읽고 나름대로 생각을 해보니 과연 부끄러움이라는 것은 나를 세상과 하나됨으로 이어주는 훌륭한 도구라고 믿게되었다.

 

그리고 부끄러움과 반대되는 감정은 자신감이다.

얼굴을 당당히 세상에 내보이는 것이다.

하지만 부끄러움이 있음에도 당당히 세상에 자신의 당당함을 보인다면 그것은 당당함 즉 자신감이 아니라 부끄러움이 자신감으로 새롭게 탄생된 의미로도 볼수가 있을 것이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은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들이 세상에 많이 존재할때 그사회는 숨쉬기가 힘들고 살기가 어려운 사회가 될것이다.

반면 스스로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들이 많이 살아간다면 서로서로 다양하게 부끄러움이라는 형태로 소통이 된다고도 볼수가 있다.

긍정적인 의미의 부끄러움이 우리사회를 어떻게 움직이고 우리사회와 행복과 관계가 있는지 저자의 의미를 알수가 있겠다.

 

사람사는 냄새가 많이 나는 부끄러움이 행복한 세상으로 이끌수 있다고 생각을 한다 서로서로 배려를 하고 자신의 마음속깊은 곳에 스스로의 통제장치의 일부분인 부끄러움을 새롭게 인식하고 긍정적으로 바라보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