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 콘서트, 그 문을 열면
박창수 지음 / 음악세계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하우스>.

그리고 <콘서트>.

 

일상에서 많이 접할수 있는 친숙한 단어들이다.

그런데 두 단어가 합쳐지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하우스 콘서트>.

전혀 어울릴것 같지않은 단어들의 만남에 당황하는 사람들도 아직까지는 많을것이다.

콘서트라고하면 대개 대형 공연장과 수많은 관객, 화려한 조명, 그리고 톱스타를 떠올리기 쉽다.

그런데 그 콘서트를 집에서 한단다.

참으로 놀랄일이 아닐수없다.

 

물론 처음듣는 얘기는 아니었다. 언젠가 TV에서 본 기억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TV에서 보여주던 하우스콘서트는 그저 '집을 공연장으로 사용한다'는 사실만 알려주는

수박 겉핥기식으로 알려주는 것에 지나지 않았을 뿐,

하우스콘서트의 진정한 내면을 들여다볼수는 없었다.

하우스콘서트라는 개념을 처음접한 나에겐

'교양있는 사람들은 집에서도 저런 음악회를 하는가보다'하는 생경한 느낌만 받았을 뿐이다.

 

<하우스콘서트, 그 문을열면..>은 이처럼 TV로는 느낄수 없었던 하우스콘서트의 생생한 모습을 담고있다.

하우스콘서트를 실제로 운영하고 잇는 저자 박창수씨는

상업적인 이윤만 추구하며 거대화되어버린 우리의 문화예술계에 문제점이 있음을 인식하고,

공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관객과 공연자의 소통이며

더 나아가 문화와 예술의 소통이 더이상 어렵고 멀게 느껴져서는 안된다는 생각에 하우스콘서트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관객과 공연자 사이에 무대라는 공간적 거리를 없앰으로써,

함께 호흡하고, 연주자를 통해 흘러나오는 음악이 눈과 귀 뿐만 아니라 공기와 바닥의 진동으로도 전해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것이다.

 

저자는 하우스 콘서트를 시작하게 된 배경과 하우스콘서트만의 은밀한(?) 매력, 운영상의 애로점, 하우스콘서트에 대한 끝없는 애정,

예술에 대한 끝없는 열정을 과장없는 솔직함으로 책을 통해 털어놓고 있다.

막상 저자는 책을 내기가 상당히 고민스러웠다고 고백하고 있는데,

만약 책이 나오지 않았더라면 하우스콘서트의 깊은 내면을 드러내기가 힘들었으리라 생각한다.

이 책을 읽기 전의 나는 하우스콘서트를 대형 공연장에서 열리는 콘서트 못지않게 멀게 느끼고 있었으니까.

책에서 하우스콘서트가 점점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가고있다는 말에,

인터넷을 통해 내가 살고있는 부산에서도 하우스콘서트가 열린적이 있음을 확인했다.

비록 박창수씨가 기획하는 하우스콘서트는 아니더라도, 확실히 우리나라 문화계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건 확실한듯하다.

 

책 속에는 또한 지금까지 하우스콘서트에 참여했던 여러 음악인들에 대한 간략한 소개도 곁들이고 있는데,

그것만으로도 읽는자의 문화적 소양이 넓어져가는것같아 뿌듯했다.

책의 중간중간에 있는 에필로그와 사진들은 책의 재미를 한껏 더 높여준다.

지금도 하우스콘서트에 대해 난색을 표하는 문화계의 사람들이 있다지만,

나는 저자의 용기와 노력에 아낌없는 박수를 보내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