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구나! 우리 장신구 작은 것의 큰 역사
박세경 지음, 조에스더 그림 / 한솔수북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장신구에 관심이 많은 빈양을 위해 인사동 나들이를 가면 꼭 들리는 곳이
<보나 장신구 박물관>인데 노리개와 비녀를 비롯한 경대, 조각보까지
옛 여인들의 생활과 어우러진 공예품, 민속품 등 생활 용품등을 볼 수 있는데
여아라면 너무도 좋아하는 장신구들... [곱구나! 우리 장신구]는

장신구를 통한 우리 역사의 흐름을 배우게 됩니다.


선사시대부터 아름답게 보이고 몸을 보호하기 위해 적을 물리치는 용도로 장신구를 사용해 왔는데 신라 시대의 화려한 금속 장신구들은 고려 시대에 들어와 불교 문화 깃들게 되고, 조선 시대에는 유교 정신이 담긴 소박한 모양이 됩니다.


각 시대별 특징과 문화가 고스란히 묻어 있는 장신구 하나만 보더라도

조상들의 지혜가 엿보이는데

시대별 사용되었던 장신구의 쓰임은 참으로 흥미롭네요.
실용성과 우아함과 품위를 지키며 시대별 상황에 맞게 꾸며진 장신구에는
조상들의 지혜화 미적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습니다.

박물관에 가면 꼭 접하는 장신구지만 아이들에게 어떤 용도로 쓰였는지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도 많았는데 이 책에는 사진과 함께 다양한 그림을 사용해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 장신구에 대한 설명이 쉽고 재미있게 되어있어요.

다양한 장신구를 우리 몸 어디에 치창했고 장신구가 우리 조상들의 생활에 어떤 도움이 되었으며 장신구를 사용한 의미를 알 수 있어

조상들의 삶과 지혜를 장신구를 통해 알게 됩니다.

책을 읽으며 등장하는 퀴즈는 어렵기만했던 전통문화를 쉽게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되고 책 속의 등장인물인 우리 빈양처럼 몸 꾸미기 좋아하는 공주병인 아이와 매일 이 친구를 놀리는 남자친구, 그리고 고양이와 함께

옛이야기에 등장하는 예쁜 공주님을 따라 우리 문화를 나타내는

장신구의 멋진 세계로 빠져들게 되며 그때마다 퀴즈를 풀어 집으로 돌아옵니다. 책을 읽는 동안 아이들도 함께 퀴즈를 풀게 됩니다.

알쏭달쏭 퀴즈를 풀며 자연스레 알게되는 역사 지식..

맨 끝에는 장신구와 관련된 퀴즈 카드 게임이 있어
책을 읽고 아이들과 퀴즈 놀이도 해보면서

아름다운 우리 장신구를 그림으로 그려보기도 했답니다.


박물관에서 만나게 되는 다양한 장신구가 어떤 용도로 쓰였는지

알아가는 재미는 우리 역사를 꼭 알아야 하는 아이들에게

역사를 재미나게 보는 또하나의 재미난 흥미를 주는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