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 돈 벌자고? 창비아동문고 261
박효미 지음, 이경석 그림 / 창비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메  돈  벌자고 ?-------

<박효미 장편동화 이경석 그림>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긴 긴 설날 연휴를 이 책 한권으로 샤악~~

명절 증후군이  재미난 책 한권으로 섭렵이 될 줄이야

백만 장자를 꿈꾸며 요행을 좇는 어린아이들에

기발한 발상과 발찍한 소동들 딸과 이번에는 책 한권으로 통 했습니다.

 

 






여자 자매 이름도 기가막히네요

가희, 나희 , 다희, 가나다 순입니다.

정승같은 아버지와 억척스런 생활력 대장인 엄마

이 슬하에 딸 셋입니다. 첫 째는 공상적이며 타협적이고,  

둘째는 현실적이며 개인적인 성향이 짙게 두드러 집니다.

막내 셋째는 어린관계로 귀염둥이 때쟁이 울보 입니다.

이중 가희가 부자가 되 보려고 계획을 하고 나희에 부축임에

점점 욕심을 내며 백만장자에 꿈도 키우는

어린 아이들에 때 묻지 않은 발상이 그대로 드러나 있습니다.




 



 

집 앞 꽁 꽁 언 논은 가희네 논입니다.

이곳은 다른집 논들과 달리 직사각형의 반듯한 터에 굴곡이 없이 어름이 겨울내 얼려 있습니다.

가희는 이 얼려있는 논을 가지고 동네 아이들에게 입장료를 받겠다고 경제활동에 들어갑니다.

이런 저런 궁리와 신경전 사이에서 막내 다희에 울음을 터트리며

팔석이 패거리는 구슬 2개로 입장료를 대신하기로 결정을 보게 됩니다.

 

이런 유머러스한 소동극에 시작으로


첫 수입입니다. 구슬 14개로 280원에 벌게 됩니다.

그런데 구슬이 들어오자 가장 신바람 난 아이는 나희입니다.

이런 와중에 가희 자매에게  억울하게 입장료를 낸다고 생각하는 팔석이 패거리들에 꾐에 꾀이고 마는데

 

 



비료 포대타기 콩 구워먹기 장치기를 배워가며 게임도 하게 되면서

즐거운 한때를 보내게 됩니다.

 



 

 
배고픔에 허기가 졌을 법한 아이들에게 고구마를 팔려고 시도하자

팔석이 패거리들은 가희에게 도리어 재밉게 놀아준 값을 하라고 손을 내밀고 있습니다.

뜨아~~ 가희는 졸지에 식은땀이 나고 계산되지  못했던 상황에

고구마를 나눠주게 됩니다.

이런 모습에 동생 나희에 속은 시커멓게 타고 있는듯 하네요.

 

 



 

이 책에 배경은 1980년대 초반 바닷가를 둘러싸고 있는 시골 마을입니다.

아이들은 겨울방학이란 빌미하에 왁자지껄 놀고있지만

가희에 엄마를 비롯하여 어른들은 바닷 일도 하는 아주 바쁜 일상을 보내는  삶에 고뇌도 엿보였던 동화였습니다

우리 자랄때 듣던 엄마에 잔소리도 구수하게 들릴만큼

친근한 엄마에 모습이 억척스럽지만 사랑스럽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런 전개가 강한 흡인력을 발휘하면서

아이들에게 생소했던 경제 관념과

어렵게 받아들여질 법한 수입, 지출 , 수요공급의 법칙을 비롯해

일확천금, 대출 , 재산증식 이란 경제용어도 접하게 됩니다.

 



 



떼돈을 벌려다 실컷 놀기만 한 천방지축 가희

더군다나 엄마가 모아놓은 돈 까지 훔쳐서 새 구슬까지 사게 되는 아찔한 상황까지

결국 영호 손이 시뻘게지는 화상이 생기면서 앙상한 가지만 남아있던 팽나무 마저

불이 붙어 타버리고

먼 언덕에 올라 타오르는 팽나무를 바라보며

집으로 돌아갈 생각을 차마 못하는 철부지 아이들 입니다.

밤새 숨어 있을 곳을 탐색중 우연히 동네 유지에 농산물 빼돌리는 현장을 발각하고

용서를 빌 만한 구실을 찾은 것에 또 다른 행복을 느끼며

흥분하는 천진난만한 아이들

결국 용서를 빌겠다고 다짐을 한 가희는 마음에 짐을 놓으면서

그 만한 댓가도 치루게 됩니다.

 



사실 겨울 방학 토요일이면 경제 수업 가겠다고 열심히 두시간 수업했는데

돌아서면 뭐더라~~ 하던 아이는

단 한 권 의 책 으 로 경제에 두려움을 버린듯 싶었습니다.

오메 돈 벌자고?  덤빈 세상이

가희에게 멋진 교훈을 남겼습니다.

이 책 이면으론 현대인의 물질주의 세태가 여실히 드러나 있습니다.

어린이들이 경제적인 개념을 알고 백만장자 를  탐하기 이전에

경제를 위한 근본적인 가치동화가 아니였나 싶습니다.

소박하게 시작했던 가희가 일확천금을 노리는  경제관념에서

나희에 티끌모아 태산에 경제관념에 차이를 비교하면서 무엇이 경제활동으로

적합한지도 짚어보는 시간도 가져봤습니다.

우리 아이들도 유쾌하다 못해 통쾌한 웃음이 절로 나고

스폰즈에 스며들듯 어려운 경제 용어도 익히게 됬네요

시종일관 익살로 넘쳐나는 아이들 이야기

전라도 사투리를 써 가며 감칠맛 나는 대화

그러면서도 알콩달콩 동네 아이들이 겨울 놀이를 즐기는 것을 보면서

까 마 득 해 지 는  어린시절이 떠 올르기도 했습니다.

'외 갓 집 '체험이나 해야 만날수 있는 놀이를

책 한권 속에 무수한 놀이 문화가 있었으니 많은것이 궁금하고

부러웠는지도 모릅니다.

함께 노는 아이들과 정을 느끼며,  나아가 승부욕에 유연해지는 모습은

지금에 우리 아이들에게도 필요한 부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