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디지털 전환 - 대전환 시대의 성공 요건
배유석 외 지음 / 클라우드나인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지털 대전환은 앞으로 모든 경제주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소비자들은 나날이 다양화·파편화·개별화되고 있는데 일명 'MZ세대'라는 세대론으로 10·20대를 분석 및 타겟해 마케팅을 진행하여 한동안 개그의 소재로 사용될 정도로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었다. 막상 세대라는 큰 틀로 묶다 보니 개개인별로 취향 차이가 많은 게 MZ세대 특징이라는 등 규정할 수 없는 요소들까지도 규정하여 납득하기 힘든 부분도 있었다. 기업들은 이러한 소비자들의 니즈를 맞추기 위해 트렌드를 분석하고 각 소비자 맞춤형 AI를 동원해 최대한 자신의 기업에서 많은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해야만 한다. 심지어 광고기업 중에서도 AI를 얼마나 적용하느냐에 따라 주가가 차이 나는 사례도 생기고 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1118298i) 즉, 이제는 기업·산업마다 AI를 적용할 수 있는 정도와 기술력 차이가 심하다 보니 그 부분이 고스란히 경쟁력 저하로 이어지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우리 정부도 AI를 기반으로 각 부처와 기관에 흩어져 있는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해 국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플랫폼을 활용하면 할수록 더 많이 학습하고 진화함으로써 국민이 어떤 것을 원하는지 더 잘 알 수 있고, AI를 기반으로 더 스마트해질 수 있도록 발전시키는 '디지털플랫폼정부'로 나아가고 있다. "기존에 경쟁이라 하면 가격, 품질, 서비스 경쟁이 주된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싼 제품을 시장에 들이미는 형태의 대량생산 시대의 경쟁은 가고 플랫폼 기반의 새로운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 게임은 경계 밖에서 넘어온 경쟁자들과 경쟁해야 하며 고객에게 다양한 형태로 가치로 전달하는 경쟁이 주가 된다. 이 경쟁은 개별 제품과 서비스의 경쟁을 넘어 생태계 차원의 경쟁이다. 기업과 경영관리 차원을 넘어 플랫폼 경쟁이자 새로운 가치의 구성 경쟁이다. 이것이 지금 우리 산업과 경제가 직면한 새로운 경쟁의 패러다임이다." (p.178-179) 비영리 단체 Open AI는 생성형 AI 서비스의 핵심 기술인 대규모언어모델(LLM) GPT의 최신 버전으로 챗봇을 누구나 만들고 유통할 수 있는 GPT 스토어를 1월 10일(현지시간) 출시했다. 개인·기업들이 필요한 기능과 성능을 만들어내고 공유하는 공간이 생긴 만큼 앞으로는 훨씬 다변화된 AI가 생겨나 경쟁이 더욱 촉진화될 것이다. "민간이 기술을 제공하고 공공이 인프라를 제공해서 데이터가 축적되고 활용되면 그 자체가 훌륭한 융합플랫폼이 돼 새로운 비즈니스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p.187) 작금의 상황에서 '산업 디지털 전환 : 대전환 시대의 성공 요건'은 현재 일어나고 있는 변화들에 대해 산업 분야의 경영자·교수가 각각 1장씩 맡아 설명하기에 세미나처럼 참여할 수 있는 책인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