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우리는 달에 간다 - 곽재식의 방구석 달탐사
곽재식 지음 / 동아시아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왜' 달과 관련된 연구를 하는가, 에 대해 고민해보지 못했다. 하늘에 떠 있는 많은 것들 중에 달이 가장 친숙하고, 신비롭다고만 생각했다. 태양도 물론 신기하지만, 낮에 뜬 태양을 빤히 바라볼 수는 없으니 밤에 뜬 달을 가만히 보면서, 또는 스쳐지나가면서 '어떻게 하면 달 사진을 예쁘게 찍을 수 있지'하는 단순한 고민을 했었다.

이 책은 궁극적으로, '왜' 우리가 달에 가기 위해 이렇게 많은 예산과 노력을 쏟는지, 달은 어떤 곳이고 지구와 어떤 관계인지, 우리가 달 탐사를 통해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 등에 대해 적혀있다.
비문학이라 어려울 것 같아서 마음먹고 책 폈는데 홀린듯이 술술 읽게됐다. 신라의 달밤, 허난설헌, 늑대인간 등 달과 관련된 많은 이야깃거리들이 있어서 책이 조금 더 다채롭고 풍부하다고 느껴졌다. 작가님이 참고한 자료나 사진들의 출처가 곳곳이 있어서 함께 찾아보는 재미도 가득했다.

신기한 얘기도 많았다. 빛 반사 실험을 통해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1mm 단위로 알아내는 것도 신기했다. 매년 지구와 달의 거리가 4cm 씩 멀어진다니,, 다누리 같은 우주선이 달을 향해 날아가는 방법에 여러가지가 있다는 것도 배웠다. 읽다보면 괜히 내 기분이 다 웅장해지고 뿌듯해지는 느낌이 든다. 누워있는데 누가 지식 떠먹여주는 기분이랄까 ㅋㅋㅋㅋ

아폴로 8호, 11호를 제작하고 운행하는 과정에서 작은 오류라도 대처할 수 있도록 계획해둔 것이 인상적이었다. '중요한 소프트웨어일수록 약간의 오류마저 큰 실수가 될 수 있다'라니 ! 인공지능과 고도화된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산업에 이용되고 있는 만큼, 꼭 새겨야 할 말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