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홍콩 - 우리가 '홍콩'이라 불렀던 것들의 시작과 끝에 대하여 아시아 총서 46
류영하 지음 / 산지니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은 전두엽이 발달한 사람인가, 측두엽이 발달한 사람인가? 아니면 당신은 명분을 중요시하는 사람인가, 실리를 추구하는 사람인가?

이 질문에 대답하기에 앞서 홍콩과 중국문제에 나는 홍콩의 우산혁명을 지지해왔다. 그것은 홍콩의 정체성을 수호하고, 더 나아가 홍콩의 민주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진지함보단 어렸을 적부터 좋아했던 홍콩영화와 음악이 하루아침에 과거의 뒤편으로 사라질뿐만 아니라 다른 색으로 입혀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아쉬움이 더 컸기 때문이다. 게다가 중국의 일국양제에 대한 약조가 지켜지지 않는 것에 중국을 원망하는 마음 또한 컸다.

하지만 이런 나의 마음과 판단은 아주 얄팍하고 협소한 소견임을 이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되었다. ‘홍콩이 단순히 영화와 음악만으로 이루어진 도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대중매체에서 보여지는 그 화려함에 눈이 멀었는지도 모르겠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 홍콩속에서 살고 있고, 살아갈 사람들의 마음과 선택이 아닐까.


이 책은 앞선 나의 협소하고 얄팍한 홍콩, 중국문제에 대한 식견을 많이 넓혀주었다. 두뇌과학이나 사회심리학을 곁들여서 홍콩 중국문제에 대해 쓰여진 이 책은 저자의 홍콩산책보다 더 심도있게 쓰여진 책으로 1997년 주권반환 이전, 이후의 홍콩과 중국의 양측의 입장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었다. 정치체제가 다르다고 해서 이쪽이 옳고, 저쪽이 그르다라는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이 얼마나 위험천만한 것임을 깨닫는다. (우리는 역사속에서 반성과 배움을 얻는다. 동독과 서독의 통일모습을 보면 한쪽의 일방적인 시스템이 서로에게 얼마나 많은 악영향을 미쳤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런 반성은 우리나라와 북한의 모습에도 해당된다.)

이 책의 저자는 중국과 홍콩문제를 폭넓은 이해와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언론의 기사, 교과서, 박물관의 스토리텔링들의 의미를 곱씹어보자고, 우리는 시시각각 깨어있어야 하고, 의문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많은 시간이 흐른 뒤 다시 바라보게 될 홍콩이 낯섬과 아쉬움이 가득한 모습이 아니라 새롭지만 낯익은 그 홍콩이기를. 홍콩을 그 속에 살아가고, 살아갈 사람들이 사랑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마지막으로 맨 처음 질문의 답을 한다면 나는 명분도 실리도 모두 중요하다. 실리가 없는 명분도, 명분이 없는 실리도 결국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중국’, ‘홍콩이 아니라 그 속의 사람들이 오래도록 살아갈 곳으로 만드는 방법을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천하흥망은, 필부유책이다. 란 말이 나온다. 세상이 흥하고 망하는 것은 한 사람, 한사람 모두의 책임이라고........우린 더 현명해지고, 더 나은 선택을 해 미래세대에 부끄럽지 않아야하지 않을까? 홍콩 중국문제에 관심이 없더라도 한국의 상황과 대입해서 읽는다면 다양한 시각을 가질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