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근대문학의 한 흐름이였던 사소설의 대표작인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
주인공 요조의 이러저러한 기행들이 바로 작가 다자이 오사무의 삶인 듯이 그려진다.

여러번의 시도끝에 결국은 죽음에 성공(?) 하지만...무엇이 그를 여러번의 자살을 시도할 만큼 힘들게 했을까?

요조는 어릴때 부터 표리가 분리된 행동방식으로 살아왔다.
겉으로 봐서는 분위기에 따라 농담도 잘하며 주위 어른들을 웃음짖게하는 똑똑하면서도 성격좋은 아이이지만 그런 행동방식은 자연스러운 성격이 아니라 요조의 계획과 어쩌면 피나는 노력으로 인해 행해지는 일련의 행동들이다.

그런 삶이 지속되면서 정신이 피폐해지고 계획적인 행동들도 점차적으로 자기 파괴적인 행동으로 전락해 버린다.

인간의 삶을 잠식해 버리는 정신의 몰락...요조는 이런 자기의 인생을 '인간 실격'이라고까지 명명하며 실격된 인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러차례 자살을 시도한다.

사소설이라는 형식이라 그저 픽션으로만 읽을 수가 없다.
조금의 긍정의 힘과 노력으로 실격이라고 판단된 자신의 삶을 더 지탱할 수 는 없었는지...

책속 주인공 요조를 따라가다 보면 자살이 자연스런 인생의 목표인양 흘러가지만 어쩔수 없는 안타까움과 답답함 그리고 인간의 해결할 수 없는 원천적인 고독과 고뇌의 쓰라림이 고스란히 남는다. 우리는 모두 살아가면서 내 속의 요조를 극복하며 다독이며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