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배신 - 월가의 전설 켄 피셔가 폭로하는 주식시장의 거짓말
켄 피셔.라라 호프만스 지음, 이진원 옮김 / 길벗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켄 피셔는 주식시장에서 사실이라고 인용되고 있는 많은 이야기들을 왜 잘못된 정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많은 매체를 통해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간한 책인 ‘투자의 배신’도 전작인 ‘주식시장의 17가지 미신’과 마찬가지로 본인이 생각하는 주식시장에서 통용되고 있는 잘못된 주장들을 담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투자를 하다 보면 굉장히 많은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정보를 얻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어야 했던 예전과는 다르게 너무나 많은 정보들을 접할 수 있다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많은 정보들이 투자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지만 오히려 독이 되는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수집한 정보가 정말 사실인지 아닌지 그리고 내 투자에 도움이 되는 정보인지 아닌지까지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켄피셔는 허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8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1. 규모를 키워라.
    : 큰 숫자는 우리에게 공포를 안겨준다. 적절한 맥락에서 큰 숫자를 바라보자.
  • 2. 반직관적이 되라.
    : 상식을 이정표로 삼지마라. 언제나 반직관적으로 사고하려고 노력하자.

  • 3. 과거를 확인하라.
    : 과거에 어떤 일이 예상했던 결과로 확실히 이어졌는지 확인하자.

  • 4. 세계적 차원에서 생각하라.
    : 국경을 벗어나서 사고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 5. 데이터를 직접 확인하라.
    :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은 과거를 검증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 6. 몇 가지 간단한 연관성을 따져봐라.
    : X와 Y 사이에 인과 관계가 있다고 읽었다면 정말 그런지 확인하라.

  • 7. 모두가 사실이라고 믿는 것을 의심하라.
    : 모두가 악재라고 말한다면 반대면 어떻게 할 것인지 물어보자. (반대도 마찬가지.)

  • 8. 네 가지 가능성을 통해 결과를 확인하라.
    : 예를들어 1월 증시 하락이 연간 증시 하락의 신호이다 라는 주장 있다면,
     1월 하락 후 연간 하락, 1월 하락 후 연간 상승, 1월 이나 연간 모두 상승, 1월 상승 후 연간 하락 이 네가지 시나리오의 기록을 찾아보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평소에 주식 투자에 관심이 있으시거나 투자를 직접 해보셨다면 들어 봤을 만한 상식이라고 자주 언급되는 주장들에 대해서 여러 데이터들을 이용해 사실 관계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평소에 ‘이 질문들이 정말 사실일까?’라는 궁금증은 가지고 있었지만 직접 여러 데이터를 모아서 사실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엄두가 나지 않았던 분들이라면 이 책이 굉장히 유익한 정보들을 제공해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인간은 이성적으로 행동한다고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인간의 뇌는 생각처럼 부지런하고 논리적이지 않습니다. 이성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기 위해서는 굉장히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떄문입니다. 또한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통념이라면 깊이 생각하고 따져보지 않고 바로 흡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통념들 안에는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도 있고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있는데 만약 도움이 되지 않는 통념을 받아들이고 본인의 투자 신념으로 만들어 버린다면 시간이 지나면 통념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지 않았던 것의 비용이 엄청나다는 것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이 책의 가치는 단순히 시장에서 사실이라고 통용되고 있는 주장들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밝혀낸 것이 전부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켄 피셔는 이 책에 담긴 자신의 주장도 의심하고 질문하라고 저자에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투자의 세계는 항상 변화하고 변화에 따라서 현재는 진실인 것도 거짓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주장 또한 사실이 아닐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책 '투자의 배신'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 투자에 이용할 수 있는 사실들을 배우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다수가 주장하는 통념들이 정말 사실인지에 대해 평소에도 의심하고 질문하며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명한 사실을 파악하고자 하는 태도를 배우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책을 읽고 자신만의 투자 철학을 만들어나가시는데 많은 도움을 얻으시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