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도 편집이 되나요?
이지은 지음 / 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 쯤은 '책을 만드는 일'에 관심을 가지는 순간이 온다.


보통 책을 고르거나 책을 통해 가장 직접적으로 접하는 존재는 

표지에 제목과 함께 가지런히 적힌 이름이 작가이므로 읽는 이들도 '내 이야기를 써 볼까'라는 작가가 되는 상상을 가장 쉽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한 권, 두 권 읽은 책의 수와 시간이 더 늘어나 '덕후'의 자리까지 오게 되면 우리(네, 제가 책 덕후임을 부정하지 않겠습니다.)는 작가를 넘어 그 책을 펴낸 출판사와 출판 업계에 대해서까지 궁금해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에 오게 되고, 여기서 실행력이 뛰어난 사람들은 결국 출판업계 속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가기도 한다.


- 책 한 권 만드는 데는 알면 알수록 참 많은 사람들의 수고가 들어갔다. 출판 에이전시, 번역가 그림 작가, 외주 교정자, 디자이너, 제작 담당자, 인쇄소 기장님, 물류 담당자 등. 파는 일까지 더하면 책이 독자의 손에 쥐어지기까지 얼마나 많은 손을 거치는지.(본문 p70-71 중)


모든 일이 그렇듯 책도 하나의 책이 만들어지고 세상에 출간되어 한 사람의 손에 오롯이 들어오기 까지 그 뒤에는 책 안의 글자 수 만큼이나 수많은 사람들의 시간과 노력이 존재한다. 그 모든 존재들 사이에서 어쩌면 가장 큰 존재이면서 가장 존재를 드러내지 않는 사람이 나는 '편집자'라는 역할이라고 생각했다. 이 책은 '편집자'로 15년간 여러 출판사와 다양한 분야의 책을 만들며 책 뒷편에서 자신의 자리를 지켜온 이지은 편집자님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책을 좋아하는 마음으로 SBI(서울출판예비학교)에 들어가 이후 작은 출판사부터 대형출판사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국내소설, 에세이, 요리책 등 여러 분야의 책들을 기획하고 한 권의 책이 만들어지는 모든 과정이 굉장히 세세하게 적혀있다. 본문을 넘어 각주와 본문 중간 중간 괄호()속에 조금 더 사심이 담겨져 표현된 문장들을 보자면 단순히 읽는 독자에게 '편집자'라는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려는 느낌을 넘어 자신처럼 책에 애정을 가지고 출판업에 관심을 가진 이들에게 선배로써 건네는 애정과 진심이 가득 담긴 조언처럼 느껴졌다.


- 출판사에서 구체적으로 무슨 일을 하게 될지 아직 상상되지 않을 누군가에게 나는 그래도 힘주어 말하고 싶다. 책을 만든느 일은 정말 매력적이라고, 사람 때문에 힘들어도 책을 만드는 일에는 헤어날 수 없는 마성이 있다고. 그러니 첫걸음부터 신중하게 택하는 게 좋을 거라고 넌지시 알려주고 싶다. 한 사람의 생각을 눈에 보이는 무언가로 만드는 일, 그렇게 만들기 위해 작가와 신뢰를 쌓는 일, 책 한 권이 탄생하기 위해서 여러 분야의 사람들과 머리를 맞대로 성을 쌓아가는 일은 생각보다 많이 뿌듯하고 기쁘다고. 그중 제일 좋은 건 세상에 없던 책이 탄생하면서 내 인생의 마디를 하나씩 채워넣는 일이라고. 그 길을 함께 걸어갈 당신을 이 길 위에서 기다리고 있겠다고. (p35-36)


작가(창작자)와 출판사(회사) 사이, 더불어 하나의 책을 만드는 과정 속 수많은 상황과 관계의 한 가운데에서 각자의 의견을 오해없이 전달하고 조율해 좋은 결과를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동시에 자신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성을 잃지 않으려 노력한 작가님의 내공이 짙게 드러나는 문장들은 분야를 떠나 '업'을 지니고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쉽게 공감되면서 담백하지만 다정하게 위로가 되는 부분들이었다. 


- 맞다. 매일 잘할 수 없는 게 일의 세계이고, 나의 기대에 맞춰 모든 사람이 일정대로 움직일 수 없는 게 책을 만드는 일이다. 어쩌면 매일 아침, 책상 앞에 여덟 시간 동안 앉아 일을 하기 위해 내 몸을 아프지 않게 돌보는 정도로도 내 몫은 충분하다. 사실은 그게 가장 중요하다. 


일을 앞세우지 않기.

자신을 돌보는 걸 미루지 않기. (p18)


- 일상으로 돌아와 일하다가 문득 '이렇게까지 애써야 해?'라는 생각이 들 때마다 나는 나를 다독인다. 회사보다는 '나'를 위해 일할 수 있도록 방법을 탐색한다. 일을 잘되게 하는 일이 나를 위한 일. 인생을 길게 볼 때 내가 만든 책들이 나의 포트폴리오가 되고, 그걸 바탕으로 더 나은 자리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는 걸 매일 깨닫고 있다.

지금 당장 힘들게 느껴지는 이 과정을, 한계에 다다른 듯한 일을 꾸역꾸역 무사히 통과하면 우리는 더 멀리에 목표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애써 누군가에게 마음을 쓴 선의는 다른 누군가로 전달되어 뜻밖의 좋은 일을 만들어준다. 회사에서 하는 모든 일은 내 삶에 경험치로 쌓일 것이고, 그건 내일의 나에게서 누구도 빼앗아갈 수 없는 단단한 자신감이 될 것이다. (p180-181)


- 나아갈 길이 보이지 않아 어렵더라도 오랜 시간 들여다보며 이번이 아니면 다음번에라도 조금 더 나아갈 수 있도록 애써 고민하기로 한다.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도 정성을 들이는 긴 시간이야말로 내 인생임을 잊지 않기로 다짐하며. (p81)



이 책을 통해 책을 만드는 사람들에 대해 몰랐던 부분을 많이 알게 되었다고 하지만, 그럼에도 내가 놓치거나 아직 모르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분명 이 책 이후에 읽는 책들은 책을 마주하는 순간부터 좋은 책을 독자에게 건네기 위해 자신의 진심어린 마음과 시간을 쏟았을 많은 이을 한 번씩 더 떠올리게 될 것이란 점은 분명하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