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나 (양장) 소설Y
이희영 지음 / 창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간 전 작가 블라인드 서평단으로 미리 읽어 볼 수 있었던 책 '나나'.


얼핏 한 사람의 이름처럼 보이는 이 책의 제목인 '나나'는 타인과 세상에 보여지는 외부적인 모습에서의 '나', 반대로 외부엔 보여지지 않지만 내면에 존재하는, 가끔은 자신조차 알아채지 못하는 '나', 이렇게 두 모습의 '나'를 뜻하는 듯하다.


k-영어덜트 소설, 쉽게 말하자면 청소년기 아이들의 이야기를 다룬 청소년 소설로 분류되는 이 장르를 좋아하는 이유는, 개인적으로 글을 읽을 때 십대 특유의 발랄함과 꾸밈없고 솔직한 성향들을 인물들간의 대화나 이야기가 흘러가는 속도, 문체에서 많이 느낄 수 있고 이러한 부분이 내용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쉽게 해주면서 글이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중심 주제, 의미의 여운과 묵직함은 결코 가볍지 않다는 것이 매력이라고 말하고 싶다. '나나'도 그랬다.


몸을 빠져나온 '영혼', 그리고 그 영혼들을 수거하러 온 '선령'과 같은 판타지적 요소가 추상적이면서 지극히 현실적인(?) 사람들에겐 혹 손발을 오그라들게 만들어 기피 요소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일주일이라는 시간 동안 주인공들이 영혼인 '나'는 왜 본체인 '나'를 빠져 나왔는가. '나'는 왜 '나'에게 돌아가지 못하는가. 저기에 있는 '나'는 '나'를 왜 거부하는가. 와 같이 '나를 찾기 위해 관찰하고 탐구하고 다가가는 과정'은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인생에 한 번씩은 모두 깊이 생각해보았거나, 누군가는 여전히 고민하고 있을 굉장히 본질적이면서 현실적인 과업과도 같은 부분이라는 것이다.


'영혼', 남들에게 보이지 않는 투명한 자신이 되어 밖에서 제 3자의 시선으로 편집되지 않거나 필터링을 거치지 않은 모습들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이 장치는 이 책을 읽는 사람들에게도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의 방향을 환기시키게 도와줄 수 있는 역할을 해 준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 책은 각 장의 부제가 둘 씩 묶여 진행된다.

'잃어버린 영혼' 과 '내버려둔 영혼', '오해한 마음'과 '두려운 마음', '미안한 나에게'와 '외면한 나에게', '깨달음의 선물'과 '마지막 선물'

두 주인공의 경우 보여지는 성격이나 지내온 환경, 상황을 받아드리고 대처하는 방향 등이 굉장히 상반된 편인데, 각 장의 흐름을 주도하는 주인공의 특징과 이야기의 느낌을 잘 잡아낸 것 같았고, 각 장을 읽고 난 뒤 부제를 다시 살펴보는 재미와 더불어 다른 듯 닮은 두 주인공의 모습을 명료하게 나타낸다는 느낌이 들어 좋았다.


"영혼은 진정으로 느끼고 알아 가는 거야." "······." "그리고 단단하게 만들어 가는거지."

모든 이들이 나름의 방식으로 자신의 삶을 열심히, 그리고 묵묵히 살아간다.

그 속에서 부디 자신을 잃지 않기를, 보이지 않아도 느낄 수 있는 자신의 내면을 보듬어주고 아껴주며 살아가기를 이 책을 빌려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