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아가리로만 할까?
박정한.이상목.이수창 지음 / 들녘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추천/책리뷰/신간] 왜 아가리로만 할까? - 말로만 하는, 미루기만 하는 사람에서 탈출하기

  

  

책을 보자마자 제목부터가 너무 흥미로웠다.

<왜 아가리로만 할까?>는 생각만 하고 말만 하다가 에이 그냥 말자해버릴 때가 있어 제목부터 공감가고 읽고 싶다는 생각이 크게 들었다.

 

<왜 아가리로만 할까?>는 각기 다른 직업을 가진 3명의 친구들이 함께 고민을 하고 있는 이들에게 해결책을 찾는데 일말의 실마리가 되길 바란다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책 속에서..

이 책의 제목에 아가리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만큼, 먼저 아가리의 개념부터 새롭게 정의하려고 한다. 앞으로 아가리는 입으로만 한다고 말해놓고 실천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지칭하겠다. 혹시 여러분도 그런 사람인가? 그렇다면 우리 모두 아가리다. 다 함께 아가리에서 벗어날 방법은 없을까? 조금 더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고민했다.

 

미루는 것은 습관이다. 모닝콜 한 번에 잠에서 깨지 못하고 다시 알림을 누르는 것부터 여태껏 딴짓하다가 마감 기간 직전에 허겁지겁 어떤 일을 끝내는 것까지. 혹시 우리 모습에서 스스로를 발견했다면 인정하자. 여러분 역시 아가리 혹은 잠재적인 아가리라는 것을. 결국은 실행력의 문제다. 해야 할 일을 먼저 할 수 있는 실행력의 차이.

 

한 번 사는 인생 나의 목표를 위해 열심히 사는 것이 진정한 욜로다.

 

우리 아가리들은 실패의 이유를 환경 탓으로 돌리는 데에 익숙하다. 나에게서 문제를 찾지 않고 외부에서 문제를 찾게 되면 마음은 잠시 편할 수 있다. 우리는 특기를 발휘할 차례다. 미루기 핑계 대기를 한 번 미뤄라.

 

저자들은 생각만하고 실천하지 않는 청춘들에게 아가리에서 탈출하자고 말한다.

나도 그렇고 많은 이들이 핑계를 대며, 합리화시키면서 피하기 바쁘다.

실패가 무서워 실행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일들이 너무나도 많다.

실패를 받아들이는 것부터 할 줄 알아야 비로소 아가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패만 하면 우리는 더욱 주눅 들고 더욱 아가리가 될 수도 있다.

이 책에서는 경험이 중요하다고 이야기 한다.

한 번 사는 인생 목표를 위해 열심히 살아야하지 않을까?

틀에 박힌 교육이 청년들을 온실 속의 화초로 만들어둔 것 같다.

자신이 뭘 하고 싶은지, 내가 좋아 하는 게 무엇인지 찾아보는 시간도 가져보고, 시키니까 하는 공부 말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기위해 하는 공부가 필요하다.

내가 학생일 때만해도 창의력, 독창성 등을 강조하면서 토론을 하거나 생각을 적어야 할 때 저자의 말처럼 선생님이나 사회에서는 'OX퀴즈를 맞추듯 답을 정해놓고 물어봤던 것들도 많았던 것 같다.

    

우리는 인생의 많은 순간에 선택지가 두 가지뿐인 ‘OX퀴즈들과 마주쳐야만 했다. 그리고 그 문제에는 늘 사회가 정한 정답이 존재했다. 맞추면 잘한 것이고 틀리면 못한 것이었다. 그렇게 우리의 프리즘 앞에는 사회가 만든 흑백 필터가 덧씌워졌다.

복잡하기 짝이 없는 세상에서 이분법은 효율적인 구분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라고 한다.

    

모두에게 한 가지 정답만 강요할 수 없다.

성격도 다르고, 하고 싶은 일도 다르고, 상황도 다르기 때문이다.

모두에게 정답이 될 수 없겠지만 자신의 상황에 대입할 수 있다면 대입시키고 그렇지 않다면 노력해 볼 수 있기도 하다.

만약 책과 생각이 많이 다르다면 다른 사람의 경험의 경험을 들었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정답이 없는 삶에서 정답을 찾아야만 하는 나도, 다른 청년들도 너무 안쓰럽다.

이 책은 다른 책들처럼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하는 자기계발 서적과는 많이 달랐던 것 같다. 정답을 찾아야만 하는 갑갑한 마음을 가지고 있는 청년들에게, 두려움 때문에 도전하지 못하는 청년들에게 <왜 아가리로만 할까?>를 추천해드리고 싶다.

 

책과콩나무 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