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 역사를 경계하여 미래를 대비하라, 오늘에 되새기는 임진왜란 통한의 기록 한국고전 기록문학 시리즈 1
류성룡 지음, 오세진 외 역해 / 홍익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역시 다시 읽어도 징비록은 새삼 대단하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시기를 다룬 책으로 조선 전기와 후기를 나누는 분기점으로까지 의미를 갖게 된 임진왜란을 현장에서 보고 느낀 대로 기술한 책이라 그 가치는 실로 크다. 리더는 역시 통찰력이 있어야 한다.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 성벽을 쌓자고 상소를 올렸던 것과 이순신 및 권율을 추천해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끄는 데 더없이 큰 공을 세운 류성룡은 보통 위인이 아닌 셈이다. 학익진, 원균 등 최근 엄청난 돌풍을 일으킨 영화 명장을 통해 이순신을 접했고, 그에 관한 상세한 보고가 징비록에 등장한다. 역사를 경계하여 미래를 대비하라는 가르침은 탁월한 혜안을 지닌 사람들이나 발설할 수 있는 귀중한 보물이다. 당파싸움과 태평한 세월에 물들어 세상 돌아가는 이치는 잊은 채 임진왜란의 소용돌이로 들어가버린 정치판은 실로 화가 나는 구석이다. 대개 이 정도면 나라가 망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로마도 이와 같은 수순을 밟고 그 즉각 쇠퇴를 거듭해 천년의 세월이 무색한 결론에 이르렀다. 임진왜란을 이겨낸 건 절대적으로 엄청난 능력을 지닌 장수와 그를 뒷받침한 병사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백성도 단단히 거들었다. 이들이 있었기에 임진왜란을 말도 안되는 병력차이에도 불구하고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이다. 대가는 참혹했다. 살육과 학살이 조선 영토를 완전 쑥대밭으로 만들었고, 무력한 왕은 살고자 함만 강했지 문제 원인과 판단력은 전무했다. 정말 무능의 극치다. 임진왜란 후 조선은 일제강점기로 치닫으며 비슷한 과정을 또 밟았다. 마찬가지로 세상 돌아가는 건 멀리한 채 조선의 작은 영토 내에서 패권 싸움에만 몰두한 결과다. 류성룡의 말씀이 여전히, 그리고 앞으로도 영원히 우리를 정신차리게 만들 것이다. 미리 대비하여 후환을 막는다. 이는 만고의 진리지만, 생각보다 나태해지기 쉬운 인간의 특성상 언제고 깨지고 마는 믿음이기도 하다. 7년에 걸친 전란의 원인을 읽어내려가면서 원통하고 답답함이 가슴 가득해지지만, 그래도 통찰력이 뛰어난 류성룡의 실천과 노력을 징비록으로 접하는 것만으로도 즐겁다. 다시 읽어도 생생하고 배울 게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