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군사 34선 - 허소, 곽가, 노숙, 육손, 사마의, 천하통일을 이끈 책사들 마니아를 위한 삼국지 시리즈
와타나베 요시히로 지음, 조영렬 옮김 / 서책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과거에 접했던 삼국지 인물들을 책사들만 모아서 읽어보니 얼마나 전략이 중요한지 확실히 알 수 있었다. 천하의 간웅 조조를 능가할 자는 없을 수 없는 세상 구조였지만, 권력을 쥔자가 철저히 눌러버리면 결코 비집고 올라올 수 없다는 사실은 이미 조조의 천하통일을 통해 알 수 있다. 이 책은 삼국지의 중요 시점에서 군사들이 내린 결정과 승리의 관계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삼국지의 인물과 함께 각 국의 흥망성쇄를 이야기를 따라가며 음미할 수 있다. 군사의 대표 모델인 제갈량은 역시 이 책에서도 압도적인 무게를 보인다. 사마의는 마지막으로 갈수록 그 영향력을 느껴볼 수 있다는 점도 삼국지 전반을 흐르는 사실의 역사를 근간으로 아주 흥미로운 구성을 보인다. 손권과 함께 했던 명문가 귀공자 주유의 이른 죽음은 너무나도 안타깝다. 매력적인 인물이고 일찍 죽음을 맞지 않았다면 보다 새로운 국면을 삼국지에 선사하도고 남았을 인물이다. 여몽은 관우를 죽음으로 내몬 인물이라 삼국지에서 철저히 미움을 받고 있다. 밉긴 하지만, 사실을 바탕으로 군사로서의 인물됨을 다시 볼 수 있어 객관적 시각과 균형을 되찾은 기분도 든다. 중국과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 관우는 신으로 사랑 받고 있다. 이러기는 참 쉽지 않은데 그저 대단하다는 생각밖에는 더 들지 않는다.추락하는 정권을 뒷받침하는 건 역시 군사들이 아닌가 싶다. 제갈량도 그렇고, 육손도 그랬다. 탁월한 이성과 판단력, 그리고 천재적 두뇌가 전체 그림을 그리며 쇠락하는 정권을 보조하고 생명을 연장한다. 한 인물이 국가를 살린다는 것에서 엄청난 인상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당시에는 물자부터 세금까지 모든 게 인간이 관여했던 까닭에 현재보다 국가 운영이 더욱 힘들었을 건 분명하다. 물론 황제라는 권력층이 지배하기는 현재보다 쉬웠겠지만, 군사 입자에서 국가를 유지하는 되뇌로 기능한다는 건 완전 다른 이야기다. 이 책에서 만난 34명의 군사는 상당히 중요한 점을 나에게 많이 남겼다. 생각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체를 그리고 인물의 감정선과 성격을 파악해 들어갈 때와 곳, 나올 때와 곳을 선택하는 직관과 이성을 배양해야겠다는 각오를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