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키는 것이 능력이다
다카기 고지 지음, 장은주 옮김 / 가나출판사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시키는 것은 나쁜 게 아니다. 일단 이러한 고정관념을 버려야 조직의 장으로서 승승장구할 수 있고, 조직의 성장과 조직원의 발전도 가능토록 유도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접근은 일을 단순화하고 협업이 가능한 형태로 나누는 것이다. 일을 능률적으로 조합할 수 있도록 제대로 단순화하는 작업은 과장쯤 되면 가능한 능력이다. 전체를 조망하고 조직원의 특징을 바탕으로 일을 분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코 나쁜 게 아니고, 무작정 과도한 업무를 주는 것만 아니라면 시키는 건 확실히 능력이상이다. 퇴근하려는데 꼭 일감을 던져주는 상사가 있다. 어쩔 수 없는 시간상의 문제로 부서장도 조율할 수 없는 업무라면 당사자들도 이해할 수 있지만, 퇴근하는 꼴이 보기 싫어서 일을 던져준다는 것은 틀린 시키기의 표본이다. 동기부여를 훼손하고, 이런 일을 누적적으로 당한 직원들은 본인들이 이러한 악습을 되풀이할 가능성도 낮지 않다. 이 책은 컨트롤 마니아에게도 경종을 울린다. 모든 걸 꼼곰히 완수하겠다는 강한 집착으로 하나부터 열까지 본인이 해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을 '컨트롤 마니아'라고 부른다. 이런 식으로 근무한다면, 조직에서 본인말고 발전할 수 있는 사람이 없어진다. 게다가, 정작 자신은 지쳐버려 업무의 질이 떨어지고, 다른 조직원을 믿지 못하는 태도로 말미암아 조직의 화합에도 해를 끼친다. 아마추어나 하는 행동이자 판단이다. 일을 충분히 단순화하여 분담하고, 조율에 힘쓴다면 컨트롤 마니아가 되어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도 없다. 일을 시킬 때, 업무의 특성을 분명히 파악하자. 몇 명이 치를 수 있는 일이며, 마감까지 얼마간의 시간이 남았는지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업무를 나누고 강압적인 자세가 아닌, 함께 하는 자세로 일을 시킨다면 상사로서의 지위와 존중도 한층 배가될 게 틈림없다. 복잡하고 힘든 일을 시킬 때, '미안한데'라는 말로 시작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저자는 이에 대해 경고한다. 미안한 일을 대체 왜 시키냐는 반문이 생기지 않도록 애시당초 그런 말로 업무에 대한 동기와 열정을 제거하지 말라고 말이다. 일에 대해 설명하고 조리있게 설명해 시키면 그만이다. 굳이 미안해하지 말고, 대신 확실히 업무의 목표를 주지해주고, 의욕이 솟아나도록 격려와 응원하는 행동으로 바꿔야 한다. 저자덕분에 많은 걸 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