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는 어떻게 말하는가 -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애견 언어 교과서 Pet's Better Life 시리즈
스탠리 코렌 지음, 박영철 옮김 / 보누스 / 201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강아지와 말하는 방법은 짜릿한 체험이 될 것 같다. 애니멀 커뮤니케이터 수준은 결코 이를 수 없겠지만, 적어도 강아지의 기본 본능과 아주 사소한 의사표현 정도는 눈치챌 수 있게 되었다. 근데, 강아지를 길러보면 쉽게 알만한 내용도 많다. 특히 공격하려고 으르렁 거릴 때는 점점 격양되는 감정과 살짝 건들이면 바로 물어죽을 듯 달려드는 그 폭발적인 시점을 알 수 있다. 털이 곧두서고 앞이빨을 드러낸 채 아주 낮은 소리로 으르으르,,거리는 강아지를 워낙 많이 봐서 조심해야 하는 법은 어쩌면 우리 인간에게도 본능이 아닐까 싶다. 강아지의 충성은 유년기에 엄청 낯설었다. 복종을 뜻하는 배보이고 성기 내밀기는 어린 나이에 부담되기도 했다. 모른 척 할 수도 없고, 만지자니 귀찮고, 놀려고 하면 자꾸 배를 보이고 드러눕는 바람에 정작 짚어들어서 세워놔야 놀기 시작했던 기억이 난다. 개도 사물을 가리킬 수 있다는 점은 상식이었는데, 이 책을 접하니 그것도 대단한 게 아닌가란 생각도 들었다. 공! 손! 이러면 대충 알아서 행동하는 강아지라 사물 인지 능력은 당연히 있다. 강아지 꼬리를 일부러 자른다는 이야기는 여기서 처음 들었다. 신호 체계가 하나 사라지는 것이니 강아지에게는 좋을리 없지만, 특수견은 부상방지를 위해 꼬리를 자르기도 한다고 한다. 꼬리의 스윙 폭이 주는 신호는 솔직히 새로웠다. 아주 크게 흔들면 당신을 공격할 가능성은 전혀 없습니다란 뜻이고, 반쯤 흔들면 다른 신호를 포착하려고 주의를 집중하는 것이다. 강아지끼리 대화를 주고 받는데, 재미난 건 강아지에게도 방언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우리 인간의 귀에는 울음이 비슷하고 패턴도 동일한 데, 그 속에 방언까지 껴있을 줄은 짐작도 못했다. 냄새, 성도 대화의 수단이다. 두려움을 느끼는 강아지에게는 무릎을 꿇고 앉아서 인사를 나누고, 낯설어 하는 강아지에게는 강아지 밑으로 손을 내밀어서 인사를 하는 게 좋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강아지가 무리 생활의 본능을 간직한 흔적은 짖을 때 나타난다. 대부분 모여라! 경계해라! 등의 집단을 위한 신호다. 연속해서 울고 잠시 쉬고. 이런 패턴은 시골 강아지들이 많이 보이는 양태다. 시끄럽기도 하지만, 나름대로 경계태세를 보였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훈련을 통해 강아지랑 대화를 나눠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