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즐거움 주식회사에 다닌다 - 즐거움이 곧 성과다
리차드 셰리단 지음, 강찬구 옮김 / 처음북스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확장성의 여지를 남기는 일터는 생산성과 개선이 연이어 발생하기 쉽다. 꽉 채운 듯한 발전이 지속된다면, 이보다 더 이상적인 경우도 없겠지만, 같은 사람들이 모여 하는 일이 언제나 똑같을 수는 없다. 그런 까닭에 이러한 여지를 남기자는 마음가짐은 분명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중요한 키로 작용함에 틀림없다. 저자는 우리가 꿈꾸는 직장, 유연하고 생각이 넘치는 그런 직장을 만들었다. 수동적인 사람은 애시당초 채용하지 않으면 그만이다. 중요한 건 리더지 보스가 아니라는 리차드 셰리단의 말은 미래지향적이다. 아쉽게도 이런 직장은 드물고, 이런 환경을 조성하기는 더더욱 힘들다. 작은 규모의 회사인 만큼 한 사람 한 사람의 능력이 회사의 성장에 직결된다. 게으르거나 이탈이 잦은 환경에서는 자유로운 분위기의 직장이 생산성을 양산하지 못한다. 관련 동영상을 찾아보면 확인할 수 있는 점이 하나 있다. 바로 연장자가 많이 보인다는 것. 그만큼 직장 생활의 음과 양을 전부 체험한 분들이 이상적인 조건이 무엇을 가능케 하는지 알고 있다는 뜻이다. 그들과 젊은이의 교합은 생소하리만큼 멋져보였다. 대부분 연장자들은 원해서 또는 타의에 의해 관리자로만 기능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보면 흐름을 제대로 짚지 못하거나 세대 차이를 극복하지 못해 상명하달로 조직의 분위기가 흐르기 쉽다. 일종의 관료화다. 그러나 리차드는 이를 꿰뚫고 과감히 짝을 이뤄 세대 간극을 줄였고, 심지어 경험의 연결점을 찾아 연장자가 빠지기 쉬운 사회적 구조의 함정을 탈피했고, 젊은이는 연장자의 경험에 조응하며 보다 빠르고 깊은 발전을 이어간 셈이다. 책을 읽다보면, 자유로움이 강렬하게 다가옴을 느낄 수 있다. 칸막이가 없는 구조는 개인주의가 지대한 미국 사회에서 보기 드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즐거워하는 직원의 표정, 여유에서 피어나는 생산성과 창의력은 정말 대단하다는 감탄을 자아낸다. 린 방식, 애자일 방식은 IT업계에서 흔히 쓰는 방법이다. 물론 이론보다 실천이 어렵다. 보고서를 쓸 때도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두 명이서 짝을 이뤄 작성하고, 한 사람은 작성을, 다른 한 사람은 관찰을 하며 조언을 건넨다. 기업 문화에 투자하는 리차드가 주장하는 바가 보고서 작성의 생산성에서 비로소 빛을 발한다. 엄청난 인상을 남기는 기업이고 그 기업의 리더다. 이상을 실현하는 리더가 참된 리더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