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병원에 가지 말아야 할 81가지 이유 - 암,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에서 임플란트까지
허현회 지음 / 맛있는책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의 실험정신과 역경 극복자세가 참으로 놀랍다. 이런 강력한 주장을 피기 위해선 엄청나게 타당한 근거를 추렴해야한다. 저자는 자신의 몸을
지렛대삼아 많은 예시를 수집했고, 이를 고발하는 문체로 강력하게 피력했다. 제목부터 완전 강하다. 현재의 의료진과 의료시스템을 보면, 전반적으로
문제가 크다. 저자가 지목한 81가지 이유말고도 큰 문제는 병원 내부에 보안시설이 너무나도 취약하다는 점이다. 비상전력도 얼마든지 파괴할 수
있고, 환자들을 해코지하려거든 아무 어려움없이 몰래들어가 산소통을 빼거나 망가뜨릴 수 있을 정도로 응급실을 제외하고는 병실이 다 보안이
허술하다. 기가 막히다. 우리가 너무나도 많이 들어서 상식으로 알고 있는 철분만 해도 그렇다. 얼마나 광고도 많이 했는지 임신을 해본 적 없는
나도 철분을 먹는 게 옳다고 믿을 정도였으니 말이다. 상술도 문제고 제약사와 리베이트 관계로 얽혀있는 의료구조도 문제다. 당뇨병도 과잉진료가
있고, 외과 수술은 대개 선수술 후 상황 파악이란 사고로 환자를 대한다. 지금 당장 병원을 가보면 과잉진료가 이미 시스템화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진료비도 만만하지 않고 보험이 안되는 구멍을 이용한 진료 남용도 상당하다. 의료진의 실수로, 여러 과잉 진료로 인한 부작용으로 불필요한
죽음을 맞이 하거나 불구가 되는 사람의 수가 무려 4만명이라니 이건 사회적 과실이다. 빠른 시일내에 의료체제를 재정비하고 무조건적 수술과 발생
후 치료가 아닌, 요즘 한창 논의 되고 있는 지역 주치의 제도를 도입하여 식습관부터 생활태도까지 올바른 교육을 시행하여 병과 질환을 애시당초
막을 필요가 있다. 그래야 환자 수가 줄어들고 의료체계의 공급과다로 이어져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병원에 쏟아붓는 돈은 사회적
손실이다. 보험료와 기회비용, 그리고 병이 낫기보단 오히려 악화되어 인생을 낭비하는 악순환을 철저히 뿌리뽑아야 한다. 저자의 다양한 예시와
타당한 근거는 이런 사고를 가능케 하였다. 얼마전 병원에서 과잉진료를 당해 눈뜨고 코베인 격으로 엄청난 비용을 지불해야 했던 경험이 있다. 물론
열심히 일하는 의사는 잘못이 없지만, 이런 의료적 허점을 이용해 병원의 매출액과 개인의 인센티브 신장에 악용하는 많은 수의 의사 장사꾼이
문제다. 역시 시스템이 중요하다. 앞으로 재정비와 예방 체제 마련으로 의료계에 히포크라테스 정신을 상기시켜주었으면 좋겠다. 다소
화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