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의 기원 이펙트 - 인류 탄생의 과학적 분석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10 그레이트 이펙트 1
재닛 브라운 지음, 이한음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다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2권의 책을 이미 출간한 저자가 요약집처럼 다윈의 저서, 종의 기원에 대해 책을 냈다. 종의 기원이 다루고 있는 갈라파고스 섬의 다양성과 핀치새의 진화 흔적 등에 대한 설명은 없다. 빅토리사 시대에 다윈의 사회적 위상과 어떤 과정과 어떤 역경을 딛고 이 책을 집필했는지 독자의 이해를 돕는 측면에서 이 책의 목표를 찾을 수 있다. 무척 새로웠다. 빅토리아 시대상도 알 수 있었고, 교회로부터 사회 권력이 점차 민간이나 정부로 이양되어가는 올바른 과정을 다윈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마치 갈릴레이가 종교재판에 회부되는 것처럼 어두컴컴한 사회상에 다윈 홀로 혁신적인 주장을 펼친다는 점은 그에게나 그의 가족에게나 몹시 부담이 되었을 것이다. 시기를 조절하며 섬세하게 출간의 순간을 기다렸지만, 또 다른 진화론자 월러스의 등장으로 다윈의 독창적 주장이 힘을 잃을 위기에 놓이기도 했다. 물론 다른 책에서는 다윈이 동료들과 계획적으로 월러스의 진화론을 그의 진화론과 동시 출간하고 사회 위상으로 그를 밀어냄으로써 홀로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한 것으로 설명되어있는데 이점은 사실일 듯 싶다. 그래도 분명한 것은 다윈의 지속적인 연구와 겸허한 자세다. 학문을 하는 사람으로서 인격과 성품을 다스리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 주변에 그를 도와주는 동료도 많았고, 이런 저런 병치레를 거치며 지철 법도 한데 끝까지 책을 집필하고 연구한 그의 자세와 신념은 높이살만 하다. 그의 저작이 세상의 빛을 보면서, 다행히도 이미 성서의 내용에 대한 도전이 어느 정도 과학적 지위에 양보하는 국면이 있었기 때문에 갈릴레이처럼 힘들지 않았다. 오히려 사회적 토론이 성행하고 인간의 사고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써 긍정적인 효과를 야기했다. 우생학적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어 다윈조차도 걱정을 했고, 여러 저자들이 그와 연결되길 희망했지만, 그는 부정적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신중을 거듭했다. 지렁이에 대한 그의 연구는 찬사를 받았고, 둘째 딸을 잃은 슬픔으로 교회와 신에 대한 기대보단 과학적 연구에 집중함으로서 인간다운 생활을 십분 유지했다고 생각된다. 존경스러운 과학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