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애 첫 1시간이 인간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
이교원 지음 / 센추리원 / 201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만물에게 통용되는 감정과 영향이란 게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그것이 태아에게 무척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점은 더더욱 새로웠다.
산도가 높은 어머니의 질을 통과할 때, 여태껏 어머니의 고통만 있을 걸로 생각했다. 왜냐하면, 태어나서도 궁둥이를 치거나 발바닥에 자극을 주어야
우는 것이 태아들의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울지 않으면 편안한 것으로 생각했는데, 사실 울지 않으면 편안한 건 맞으나 울어본 적 없는 태아가
울어서 감정을 표현을 한다는 점이 익숙하지 않아서 울지 않는 것이었을 뿐 괴로운 건 어머니나 태아나 마찬가지란 게 새로 알게 된 사실이다.
그렇게 태어난 아이는 10개월간 어머니 배속에서 행복하게 지낸다. 무척 따뜻한 양수에서 둥둥 떠서 생활한다. 그러니 그런 편안한 환경을
외부에서도 지켜주는 건 생명에 대한 예의이자 최소한의 독려다. 태명에 반응하는 아이를 보면, 10개월의 기간이 참으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저자는 태어나서도 3년이 되는 기간까지 모든 프로그래밍이 자리를 잡는다는 점에서 어느 때보다 태아에게 각별해야한다고 말한다. 특히 저출산 문제도
해결해야하지만, 그것보다 태아가 올바로 자라는데 필요한 사랑을 듬뿔 줄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우선이라고 한다. 동감하는 바다. 어머니와의 공명은
당연히 발생할 수밖에 없다. 자궁에서 어머니의 심장박동수에 익숙한 채로 살았고, 발생도 그곳에서 했으니 어머니와의 관계는 가히 상상을 초월하는
울림이 있을 것이다. 부성애도 중요하다고 한다. 어머니가 받는 모든 영향이 태아에게 가는 것이니, 옆에서 적극 조력을 마다않는 남편이 있어야
어머니도 편안하고 그래서 태아도 건강하다. 타인을 괴롭히는 성향의 어린이는 어머니 배속에서부터 잘못된 영향을 받은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한다.
무섭다. 임신부의 지적수준이 올라가 태아에게도 좋은 영향만 미친다면 좋겠지만, 요즘 많은 수의 젊은이들이 자유로운 서양식 사고관에 잘못 길들여져
음주문화와 흡연 습관에 노출되고 있다. 게다가 독서량도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방송가의 콘텐츠들로 인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중이라, 단순히
모성애들 넘어서 지적인 태교 활동이 부족한게 실정이다. 저자의 경험에 기대어서도 그런 사례를 쉽게 볼 수 있었다. 양수의 결정 구조도
흥미로웠다. 왜 좋은 말만 하고 사랑을 해주어야 하는지 알겠다. 사랑수에 아이를 담그는 행위도 양수의 결정 구조가 좋은 인상과 말에 영향 받는
것을 보고 시행한 것이라고 한다. 공장형으로 출산이 이뤄져 제일 중요한 태아와 어머니의 감정 교류가 지나치게 짧다는 게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각인 효과를 보자면, 출산 후 5분~10분은 어머니와 태아가 같이 있음으로써 태아의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호르몬 샤워를 한 둘이 최초의 만남을
의미있게 보낼 필요가 있다는 저자의 말씀에 심히 동의를 표하는 바다. 산부인과의 어려움도 알게 된 점도 적지 않은 소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