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마지막 공부 - AI에게 철학을 가르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오카모토 유이치로 지음, 김슬기 옮김 / 유노북스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인공지능이라는 과학적 소재를 바탕으로 여러 분야에 (윤리학, 인지학, 미학, 심리학, 사회학, 종교학, 유전자공학) 철학적 질문을 던져 독자들에게 인문학적 고민에 접근하도록 하는 <<인공지능의 마지막 공부>>를 읽어보았습니다. 저자는 '강한' 인공지능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책을 써나갔기에 이를 염두에 두고 읽어보라 권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인공지능을 알고 싶어서 책을 선택했는데 이 책을 읽어 나갈수록 묘한 매려게 빠져듭니다. 먼 미래에 다가올 문제들을 마치 눈앞의 일처럼 끌어다 놓고 저자가 던지는 철학적인 고민속에 함께 들어가 인공지능에 대한 관점과 시야를 색다르게 관찰하게 되니 오로지 '기계'로만 인식했던 인공지능의 관련 지식과 생각을 전환시켜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게 됩니다. 워낙 자유로운 발상이 가능한 일본이라 그런지 보수적인 생각에 갇혀있는 제게는 조금 이해하기 난해한 주제들이 있었지만 그런 깨기 어려운 질문과 사고의 결과들도 제게는 색다른 관점의 접근법을 인정하고 내 생각과 비교해가며 저자의 주관에 휘둘리기보다 나만의 확고한 생각을 다지는 기회가 되기도 했습니다.(종교학에서 저자의 주장들이 제가 믿고 있는 것들과는 다른 점이 많아 불편했어요;;;) 다양한 관점과 학문을 오가며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미래에 대해 고민해 보는 시간이 전혀 아깝지 않았습니다.

저자의 철학적인 방대한 지식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얻게된 색다른 경험이 앞으로 벌어질 일들에 대한 지혜로운 판단과 선택으로 이어질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단지 인공지능을 과학이라는 분야로 한정 짓지 않고 여러분야에서 사용되고, 놀라울만큼 발전되어 인간 그 이상의 거대한 존재의 능력으로 두려움을 느끼게 될만한 순간이 닥치더라도 인공지능에 대한 고민과 질문에 대한 답을 공유해갈때 인공지능은 인류에게 위협적인 존재만은 아닐것이라는 희망이 생기네요.

딥 러닝으로 고속 성장해나가는 인공지능의 다양한 면모를 책을 통해 보며 저자의 철학적 질문과 생각실험의 예시를 통해 이런 상상력들이 우리의 힘이 되겠구나를 느낀 시간이 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의 마지막 단계는 무엇일까요? 사람처럼 생각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그 어떤 것이든 사람만이 가지고 있는 직관의 힘은 따라오지 못할 것이라는 개인적인 결론으로 마무리지어봅니다. 날이 갈수록 컴퓨터와 AI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사실도 주의해야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을 책.

인공지능의 반역과 배신에 대한 도서, <<파이널 인벤션>>_ 제임스 배럿, <<슈퍼인텔리전스>>_ 닉 보스트롬

"현재 인공지능은 경험주의 입장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는 마치 철학자들이 끊임없이 질문하던 '인간지성'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_92"

"인공지능에게 지지 않으려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갈고 닦아야한다. _1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