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규네 홈스쿨 - <영재발굴단> 꼬마 로봇공학자의 성장보고서
김지현 지음 / 진서원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민하고 기질이 특별한 자녀를 둔 엄마라면 어린이집 보낼 시기 부터 관심이 많은 홈스쿨! 하지만 어떻게 해서든지 우리 아이가 기관이나 학교에 잘 적응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아이를 달래고 자신을 채찍질하며 고된 시간을 보내며 대부분이 그 시기를 지나오고 있을 것만 같습니다. 준규네 홈스쿨을 읽으면서 나는 왜 특별했던 우리아이를 다른 평범, 기준에 비교하며 안타까워했을까 아이에게 미안하기도 하고 슬퍼지기도 했습니다. 이 책에는 준규의 초등학교 시기에 닥친 부적응으로 홈스쿨을 진행하게 된 이야기가 소개되고 있지만 아마도 준규는 그 이전의 영유아 시기에도 남다른 특이한 장점이 있었을 거라 생각됩니다. 그걸 엄마가 잘 봐주고 필요한 것들을 마음껏 누릴 수 있도록 환경에 맞춰 최대한 노력해 줬을 것 같다는 생각은 본문의 많은 어릴적 사진속의 배경들을 보며 느낀 것이었죠.

저도 그랬던 것 같습니다. 최대한 아이에게 해 줄 수 있는 것들을 위해 노력하고 참고 공부하던 그 때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적응이 어려웠던 어린이집(한달만에 포기), 유치원과는 달리 초등학교에서의 시간을 너무나 즐겁게 보내는 아이를 보고나니 제 관심도 적어지기 시작했던게 사실입니다. 학교에서 더 많은 것들을 해주기를 바라며 엄마로서의 책임을 어느정도 소솔했던것 같아요. 저는 학교를 옮기거나 그만둘만큼 홈스쿨을(우리나라에서는 언스쿨링이라는 단어로 검색하기가 더 적당하다네요) 선택할 심각할 상황이 아니지만 초3이 되면서 학교 공교육에서 채워지지 않는 허점이 보이기 시작해 부분적인 홈스쿨을 고려중입니다. 아이가 정말 좋아하는 것들을 시도조차 해 보지 못한 채 학습량을 채워 나가야하는 현실에서 가끔 아이들이 안스럽고 불쌍해 보이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책에서의 부록조차 홈스쿨의 자료가 우리나라에서 충분치 않다는 것을 확인한 후... 저자의 그동안의 노력이 얼마나 고되고 힘들었을까를 느끼며 나는 또 어떻게 서울이 아닌 이 경기 지역에서 필요를 충족해 나갈 수 있을까 고민이 되었습니다. 준규네는 초등에서의 홈스쿨 선택이었지만 내아이, 혹은 다른 아이들은 중, 고등학교에서 선택하게 될 가능성도 있는데 대안학교라든지 교육기관을 선택할 수 있는 자료나 기회, 장소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고 씁쓸해집니다.

현재는 학교에서 잘 적응하고 있지만 별다른 사교육을 하고 있지 않으니 집에서 엄마가 아이의 교육에 많은 시간과 관심을 가져줘야하는데 그런 마음을 단단히 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책입니다. 미래를 아이와 설계하고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들이 참 아름다웠습니다.

"아이를 학교에 맡겨두고 알아서 하겠지 하는 방관자적 입장을 취할 수는 없어서 부모의 역할을 열심히 하게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