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공부가 끝나면 아이 공부는 시작된다 - 세 아이를 영재로 키워낸 엄마의 성장 고백서
서안정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 아이를 영재로 키워낸 엄마의 경험담이 격려, 관망, 허용, 관계, 독립, 꿈, 지식, 책, 방향, 대면의 열가지 주제로 나뉘어 있어(씨앗이라는 단어에 비유하여) 육아와 교육에 고민을 하고 있는 내게 많은 해결방법은 물론 깊은 울림이 되어준 책이다. 책 제목에 ‘공부’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항상 눈이 번쩍 뜨이게 되는데 그런 관점에서 책을 편다면 원하는 것을 얻기 힘들다.

대한민국에서 중요시하는 지식 위주의 교육의 함정에 빠지지 않고 오로지 내 아이의 특성과 꿈, 진로에 맞춰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길을 넓혀 진정한 아이의 행복을 위해 미래를 바라보게 해 주는 고마운 책이다.

책을 읽으면서 엄마(부모)의 행복이 곧 아이의 올바른 인격형성과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깨닫고 과거 나의 부모로부터 받았던 상처에 대면하고 회상하며 눈물도 흘리곤 했다. 그리고 그것이 나의 내면아이를 만나 위로하고 극복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도 모르는 사이 어렸을적 받았던 상처로 내 아이에게 대물림하게 되는 나의 모난 구석을 이 책을 통해 바라보고 그 연결을 끊어 보고자하는 시간을 가졌다. 엄마가 어린 내게 했던 아팠던 말들, 아이와 같은 나이에 입원해서 병실에 혼자 있었던 외롭고 무서웠던 기억(부모님은 맞벌이 중이셨다.) 아직 모든것이 회복된 것은 아니지만 아이에게 반응하는 나의 모습을 보며 나의 내면 아이를 살펴 볼 수 있다니 좀더 주의를 기울여 나를 만지는데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현 교육의 문제점을 정확히 잡아내어 그 해결점을 현실적으로 제시하는 저자의 글들이 많은 격려가 되고 용기를 갖게 된다.

책을 읽는 내내 도대체 엄마의 공부는 무엇이고 아이의 공부는 무엇일까 생각해 보았다. 그 공부가 무엇이길래 이런 제목을 선택하게 된 걸까? 저자의 생각에 가까운 결론일지 모르겠으나 엄마의 공부란 나 자신을 들여다 보는 것을 말하는 것 같다. 자신의 내면을 살피고 사랑하는 법을 익혀 행복한 성장을 이뤄 내는 것이 아닐까? 그 거울을 보고 아이 또한 행복한 성장의 길로 들어서게 되는 것이 아이공부의 시작을 뜻하는 것일거라는 생각을 해본다.

몇번이고 다시 읽어도 좋을 책임을 강조하며-

오늘도 나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아이를 사랑할 것을 다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