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프랑스철학의 뿌리들 - 지성, 의지, 생명, 지속의 파노라마 카이로스총서 72
황수영 지음 / 갈무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멘느 드 비랑에 대해서 좀 더 보고자 구입했는데, 저자의 유심론적 실재론/유심론적 실증주의(positivisme spiritualiste)라는 용어는 쉽게 동의할 수 없다. 유심이라고 하면 불교의 유식사상을 끌고와서 식상속/심상속 이론과 아뢰야식에 대한 보충설명이 있으면 좋을 듯하다. 그럼에도 이 책은 강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Vasseur 2021-05-13 16: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프랑스 철학의 맥락을 옮기는 곳에서 ‘유심‘이라는 낱말을 사용하는 것이 왜 불교의 ‘유식사상‘과 이어져야 하는 것인지요? 단지 그것은 spiritualism을 번역한 것에 불과한 것 같습니다만.
 
객체들의 민주주의 카이로스총서 71
레비 R. 브라이언트 지음, 김효진 옮김 / 갈무리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저 역시 번역하고 있었는데,
지금 출간한 책을 읽어 보니 글이 잘 읽히네요^^
수고하셨습니다_()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쉽게 읽히는 동양철학 이야기
김제란 지음 / 한국학술정보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철학 교양과목 교재로 딱인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_()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