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우리말 문법 공부
정재윤 지음 / 현북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맛있는 우리말 문법 공부

 

글쓰기 자신감을 쑥쑥 키우고

올바른 언어생활을 하게 하는

우리말 문법 공부

 

우리말 문법 공부라고 하니

낯설어하네요

그러고보니 영어 문법책은 집에 좀 있는데

우리말 문법 책은 손에 꼽더라고요

 

우리말 문법을 다 알면야 이렇게 따로 공부할 필요가 없겠지만

문제는 잘 모르면서 우리말 문법 공부를 등한시 하는데 있는 것 같아요

 

문법 하면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져서

쉽게 손이 가진 않죠

 

그래도 우리말 문법은 뒤로 하고

영어 문법만 열심히 하는건 문제가 있는 것 같아요

 

우리말에 대해 잘 모르면서

공부하려고 하지 않고 그냥 사용하는 것이 젤 문제겠죠

 

현북스의 맛있는 우리말 문법 공부에서는

삼촌과 조카와의 일상 대화를 통해

우리말 문법을 체계적으로, 알기 쉽게 알려주고 있답니다

 

 

말소리, 단어, 문장으로 나뉘어서

딱딱한 문장이 아니라 대화체

쉽게 우리말 문법을 알려주고 있답니다

 

"자 잠시 눈을 감고 우리 주위에서 무슨 소리가 들리는지 들어 보자"

 

에어컨 소리,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뛰어노는 소리

차 지나가는 소리 여러 소리가 들리죠

 

그럼 이 소리들을 음성이라고 부를까요?

음성의 정확한 뜻은 무엇일까요?

 

사람이 입으로 내는 소리 가운데 말할 때 사용되는 소리만 음성이라고 하고

말의 뜻을 구별하게 하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는 음운이라고 해요

 

모음은 발음할 때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고 나는 소리이고

자음은 입안에서 소리가 막히기도 하고

혀가 이에 부딪히기도 하는 등 뭔가 방해를 받고 나는 소리랍니다

 

평소에 그냥 아무런 생각없이 사용했겠지만

이제는 배운 것을 생각하면서 말을 하고 글을 쓰면 좋을 것 같아요


 

'낫'을 소리 나는 대로 쓰면 [낫]? [낟]?

[선능] 가니, [설릉]가니?

[센티미터]일까 '센치미터'일까?

 

정답을 다 아시겠나요?

저는 헷갈리더라고요

그동안 우리말에 너무 무심했던게 아닌가

부끄럽기까지 했네요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자음동화, 구개음화

 

'ㄱ, ㅂ, ㄷ이 받침 뒤에 오는 ㅁ, ㄴ을 만나서

비음인 ㅇ, ㅁ, ㄴ으로 바뀌는 현상을 자음 동화라 하고

비음이 아닌 소리가 비음으로 바뀌었으니 비음화라고 부른답니다

 

ㄷ이나 ㅌ 다음에 ㅣ가 오면 디->지, 티->치로 바꾸어 발음하는데

이 현상을 구개음화라고 한답니다

 

모두 한번쯤 들어보셨죠?

학교 다닐때 공부했던 기억이 나더라고요

 

계속 관심을 가지고 올바르게 우리말을 사용했어야 했는데

공부할때 반짝하고

헷갈리면 다시 찾아봐야하는데 그냥 넘어갔던 것 같아요

 

이제는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겠어요^^

 

 

영어 단어 공부는 정말 열심히 하는 어린이들

하지만 우리말 단어 공부는 등한시 하는 것 같아요

 

단어란 무엇일까요?

단어란, 문장에서 자립할 수 있는 말

또는 자립할 수 있는 말에 붙어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말을 뜻합니다

 

 

단어는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눌 수 있다

단일어는 어근 하나로 이루어진 단어다

복합어는 파생어와 합성어가 있다

 

이렇게 예를 들어서 대화체로 설명해주고 있어

더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 것 같아요

 

품사라고 들어보셨죠?

머리아프다고요? ㅋㅋ

 

누가 우리말을 쉽다고 했나요?

알면 알수록 어려운 것 같아요

 

공통된 성질을 가진 단어들끼리 묶어서 분류하는데

이렇게 분류해 놓은 것을 품사라고 합니다

단어를 품사로 분류할 때는 형태, 기능, 의미의 세 가지 기준을 따른다

흔히 품사라고 하면 단어의 의미를 기준으로 나눈 아홉가지 품사를 말한다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

 

학교 다닐때 공부했던 기억히 쏙쏙 나더라고요

 

우리 아이들도 쌍둥이 음소 운소처럼

'뭐 그래? 뭐가 이렇게 복잡해'라고 생각하고 있나요?

 

한꺼번에 하려고 하지 말고

이 책으로

9가지 품사에 대해 천천히 차근차근 공부해보아요

 

 

단어 공부 잘 했나요?

 

그럼 문장에 대해서 배워볼까요?

 

문장이란 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랍니다

 

이것이 본다라는 것은 문장이라고 할 수 없는 이유랍니다

누가 무엇을 본다는 건지 완결된 내용이 아니라서요

 

어절과 구, 절이 문장 속에서 여러 가지 일을 할 때

이들을 문장 성분이라고 부른다

문장 성분은 주성분, 부속 성분, 독립 성분으로 구분된다

 

문장 공부도 호락호락해 보이지 않네요

 

나머지 부분은 꼭 이 책으로 공부해 보시길 바래요

 

 

 

아이들에게만 우리말 문법 공부 하라고 할게 아니라

같이 해야 겠다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네요

 

결코 쉽지 않은 우리말 문법 공부

하지만 꼭 해야 하는 우리말 문법 공부네요

 

말을 잘하고 싶은가요?

글을 잘 쓰고 싶은가요?

그럼 이 책을 읽고 말과 글에 대해 함께 공부해 봐요

분명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이 책을 읽고 말과 글을 더욱 사랑하는 사람이 되기를 바랄게요

-머리말

 

세상에는 공짜는 없는듯요

어려워 보이고 복잡해 보이지만

우리말 문법 공부를 꾸준히 하면

노력한 만큼 우리말에 대해 더 잘 알게 되고

더 사랑하게 되는 것 같아요

 

이 책 두고두고 보면서

하루에 10분~20분 정도

우리말 문법 공부를 해보는 건 어떨까요?

 

우리 우리말을 바르게 사용하고

많이많이 사랑하자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