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사랑 사랑 웅진 세계그림책 219
맥 바넷 지음, 카슨 엘리스 그림, 김지은 옮김 / 웅진주니어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칼데콧 아너상 수상 작가,
맥 바넷과 카슨 엘리스의 만남!
사랑의 의미를 성찰하는 아름다운 그림책


“사랑이 뭐예요?”는 글 작가 맥 바넷이 어린 시절 몰두했던 질문이다. 어린 맥 바넷에게 어른들의 답은 항상 불만족스러웠다고 합니다. 그래서 작가는 예전의 자신처럼 사랑의 의미를 궁금해 할 어린이들을 위해 『사랑 사랑 사랑』을 썼고, 자신이 생각하는 답을 직접적으로 말하는 대신, 풍성한 의미를 담은 카슨 엘리스의 그림으로 보여 줍니다.



재기 넘치는 글과 환상적인 그림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는 작품!

​함께 보실래요~?


“사랑이 뭐예요?
할머니는 오래 살았으니까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어른들을 뭐든 다 알고 있을꺼라 생각하는 아이들.


나도 이러한 질문을 받는다면 과연 뭐라고 답할까?



정해진 답이 없기에 어디에 초점을 두고 말해야 할 지 순간 머뭇거려진다.



“세상에 나가 보렴. 그러면 답을 찾을 수 있을 거야.”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할머니께서는 지혜로운 답변을 건넸다.

​정원을 가꾸는 할머니의 모습.
꽃과 나비와 풀에 둘러싸인 할머니와 손자의 모습을
그린 그림 속에는 사랑 그 자체가 느껴졌다.

​뭐라 표현할 수 있는 단어의 한계.
하지만 온 몸의 감정으로는 느낄 수 있는 사랑.

​그림을 보며 그게 사랑이 아닐까?란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아이는 길을 떠났다.


사랑은 물고기란다.
사랑은 박수갈채야.
사랑은 밤이야.
사랑은 집이란다.
사랑은 씨앗이란다.
사랑은 칼날이란다.
사랑은 말이란다.
사랑은 당나귀야…

.

.

.

네가 사랑을 어떻게 알겠니.

원하는 답이 아니었을까?
와닿지 않았을까?

​계속해서 사랑을 묻고 다닌다.

​이들의 사랑은 항상 곁에 함께하는 것들이었다.

​항상 곁에 있기에 소중함을 모르고 당연한거라 느끼는 우리들…



​“나는 할머니와 살던 우리 집으로 돌아왔어요.”


돌아오는 아이의 모습만큼이나 집 옆의 나무들도 무성하게 자라있는 모습.

​그리고 더 나이가 들어 주름이 부쩍 보이는 할머니의 모습.

​그 모습 속 입가의 미소는 그대로였다.


“ 그래서, 답을 찾았니?”

사랑은 답으로 정의를 내릴 수 없는…
마음으로 느낄 수 있는…
당연한 것들 속에 사랑이 듬뿍 담겨져있음을…
그리고 아주 가까이에 있음을…

​시간이 지날수록 더 숙성되어지는 사랑.





사랑이 뭐예요? 라는 질문이
많은 생각들을 던져주었고 주변을 둘러보게 되었다.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지원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